1. 우리나라 사람에게도 외국인에게도 '김치'는 한국을 상징
2. 2008년 미국의 건강 잡지 『헬스』(Health)에서 세계 5대 건강식품 가운데 하나로 선정
⑴ 일본 낫또
⑵ 그리스 요구르트
⑶ 스페인 올리브유
⑷ 인도 렌틸콩
⑸ 한국 김치
3. 김치의 매운 맛을 '할 수 있다는 정신', '작지만 당찬 성격'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용
4. 김치는 우리가 만든 단어이지만 어원은 한자어 침채(沈菜)
⑴ 고려 후기에 처음 사용한 듯
⑵ 침채 → 팀채 → 조선전기 딤채 → 김채 → 김치
① 딤채
ⓐ 『훈몽자회』(1525) : '딤채' 글자 발견
ⓑ 소금에 절인 채소에 소금물을 부어 만든 국물이 많은 김치
② 김치
ⓐ 고춧가루로 버무린 것이 아니었다
ⓑ 소금에 절인 채소에 매운 맛 나는 향신료(마늘, 산초 등)를 넣어 만든 것을 통칭
5. 고추를 이용한 김치가 시작된 시기
⑴ 17세기 말
⑵ 우리나라 역사에 비해 현재의 배추 김치는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최근의 발명품
6. 김치 문화가 발달한 이유
⑴ 산채, 야생초, 생선 등을 소금에 절여 보존하면서 자연식품을 저장하는 방법 터득
⑵ 소금에 절인 채소에 다양한 양념과 향신채소를 넣어 그 맛을 풍부하게
① 중국, 일본 : 채소 소금 절임이나 장아찌
② 우리나라 : 젓갈로 맛을 내 독특한 풍미를 갖춘 발효 음식으로 발전
ⓐ 고기반찬이 귀했던 시절 젓갈에 함유된 단백질은 영양적으로 큰 도움
ⓑ 쉽게 구할 수 있는 채소를 오랫동안 맛있게 먹을 수 있어 반찬으로 으뜸
→ 즐겨 먹다 보니 김치 문화는 다양하게 발달 : 문헌과 고증으로 재현할 수 있는 종류만 187가지
※ 높은 마님을 평가할 때 ' 36가지 김치를 담글 줄 알고 36가지 장을 담글 줄 아는 며느리'
7. 김치 맛은 지방마다 다르고 집집마다 다르다. 즉 그 지방의 기후와 지형 그리고 사람 성격이 숨어있다
⑴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김치가 더 맵고 짜며 향도 강해진다
⑵ 남쪽지방
① 다양한 작물로 인해 보기에 풍성한 김치가 많다
② 보존은 어려워 간이 센편
⑶ 북쪽 지방
① 양념을 상대적으로 덜 사용
② 전반적으로 소박하고 담백하고 맑은 맛을 자랑
8. 김치는 매우 예민한 음식
⑴ 발효가 되어도 어떻게 보관하느냐, 어떤 용기에 담느냐, 몇번을 뜯어서 먹느냐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맛이 미묘하게 변질
⑵ 옛 어른들은 칼이나 가위로 자르면 맛이 떨어진다 하여 손으로 김치를 찢어 밥에 얹어 먹곤 했다
9. 김치는 술안주도 되고 밥반찬도 되고 다른 것과 어우려져서 맛을 내는 융합의 음식 즉 단순히 반찬으로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⑴ 물 양에 따라 김칫국, 김치찌개 등
⑵ 고기(찌개), 밀가루(부침개)
⑶ 음식 재료 : 김치찌개, 김치볶음, 김치전, 김치밥, 김치빈대떡, 김치김밥, 김치버거, 김치피자, 김치스파게티 등
10. 김장 : 김치를 대량으로 담그는 일
⑴ 김장하는 날 = 작은 잔치날
⑵ '반년 양식'
⑶ '나눔의 문화'가 깃들어 있고 겨울 추위를 이겨 내는 지혜가 내포
11. 김치 담그는 주요 원리 : 버무리고 삭히는 것
⑴ 버무리다
① 한국 음식 요리법에 자주 등장
② 이질적이고 대립되는 요소를 한데 섞어 융합시키는 행위
③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재료도 김치안에 들어오면 함께 어우려진다 : 쌀, 소고기, 생태, 낙지, 오징어, 가자미, 고등어 등
⑵ 삭히다
① 재료가 어우러져 맛을 낼 때까지 시간 필요
② 시간을 두고 숙성시켜 저절로 맛이 배어들게 하는 것
③ 김치는 '만든다'하지 않고 '담근다'
ⓐ 김치를 만드는 재료를 버무리거나 물을 부어서 익거나 삭도록 그릇에 넣는다는 의미
ⓑ '담근다' 말 속에는 '삭힌다'와 '익힌다'는 뜻이 포함
12. 김치는 '섞음'의 미학을 잘 보여 준다 : 5색과 5미
⑴ 5색 : 하얀색, 푸른색, 누런색, 붉은색, 검은색
⑵ 5미 : 매운말, 짠만, 신맛, 단맛, 떫은 맛
13. 김치는 화식(火食)도 생식(生食)도 아닌 시간이 만들어 낸 제 3의 맛 발효식
14. 김치는 국물도 함부로 버려서는 안될만큼 건더기와 국물의 조화에서 상호 보완 작용이 일어나는 음식
⑴ 밥이든 고기든 다른 음식과 함께 먹을 때에 비로소 그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음식
⑵ 함께 어우러져 일체가 된 맛과 의미를 자아낸다 : 우리나라 사람이 추구한 삻의 철학
15. 김치는 우리 일상적 언어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⑴ '떡 줄 사람은 꿈도 안 꾸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
⑵ '파김치가 되었다'
※ 융합을 대표하는 음식 : 김치
→ 우리나라 사람은 무언가를 받아들일 때 자신의 것을 혼합하거나 융합하여 자신만의 창의성을 보인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김치' 또는 바로 이러한 '융합과 창조'의 결과물
※ 혼합을 대표하는 음식 : 비빔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