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진왜란이란?
⑴ 1592~1598년까지 2차에 걸쳐 왜가 조선을 침범한 사건
⑵ 1차(1592)를 임진왜란, 2차(1597)를 정유재란(丁酉再亂) : 포괄적 의미로 임진왜란
⑶ 일본 : 분로쿠(文祿)·케이초(慶長)의 역(役)
⑷ 중국 : 만력(萬曆)의 역(逆)
2. 전쟁 발발 이전 상황
⑴ 조선
① 약 200년 동안 부분적인 외침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쟁을 치른 적이 없는 나라
② 불시에 예상되는 전쟁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③ 명종대에 외척 세력이 권력을 남용하여 자행한 학정(虐政)의 잔재를 정리하고 붕당정치(朋黨政治)의 기반을 닦고 있는 중
④ 붕당정치가 세력 경쟁으로만 치닫고 있어서 붕당정치 참여만을 모색
⑤ 국방에 대해선 관심이 전혀 없는 상태
⑵ 왜(倭)
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 전국시대를 종결하고 나라를 하나로 통일
ⓑ 상업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신흥세력의 힘이 커지자 이 힘을 밖으로 내몰고 국민을 하나로 뭉치기 위한 방책으로 외부와의 전쟁을 준비 : 전국시대를 통해 얻은 전쟁 수행능력을 효과적으로 소비하고 신흥 세력의 힘을 축소시키려는 일거양득의 전략
② 대마도주를 통해 ‘서로 힘을 합쳐 명(明)을 치자’고 몇차례 제안 : 조선은 거절
⑶ 조선 : 1590.3~1591.3 통신사 파견
① 통신사 일행 : 통신정사 황윤길, 부사 김성일, 서장관 허성
② 황윤길(서인), 허성은(동인), 황진(김성일 수행인) : 침략 가능성 있다.
③ 김성일(동인) : 침략 가능성 없다.
④ 논의 끝에 전쟁설을 퍼뜨려 민심을 혼란스럽게 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라 김성일주장을 받아 들임 :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서인의 힘이 약화된 상태여서 동인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 결과
⑤ 선위사 오억령 : ‘왜가 다음해에 조선의 땅을 빌려 명을 정복하려 한다’고 보고했으나 묵살당하고 오히려 파직
⑥ 왜관(倭館)에 머물던 왜인(倭人)이 본국으로 소환되어 왜관이 텅비게 되자 침략 감지
ⓐ 김수를 경상감사, 이광을 전라감사, 윤선각을 충청감사로 임명 : 무기 정비, 성 구축
ⓑ 신립을 경기도와 황해도에, 이일을 충청도와 전라도에 급파 : 병비 시설 점검
ⓒ 모두 때늦은 조치
2. 전쟁 발발과 전란(戰亂)
⑴ 왜
① 1592년 4월 13일 오후 5시 20여만 병력, 9개 부대로 나뉘어 조선 침략
② 당시 왜의 총 병력은 30여 만 : 총 병력의 2/3가 투입된 셈
⑵ 조선
① 5월 2일 : 한양을 내줌
② 6월 : 평양을 내주고 선조는 의주성에 피난
③ 전라도 지역과 평안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점령
④ 전라도 지역 수군(전라좌수사 이순신) : 왜의 전라도 진출을 완전히 차단
⑤ 6월 이후부터 의병 활동과 명나라가 보낸 원군으로 전세는 조금씩 역전
⑥ 1593년 2월 : 평양성 회복
⑦ 행주산성 싸움에서 승리
⑧ 1593년 4월 : 한양 탈환
⑶ 왜
① 울산 위쪽 서생포에서 진주 아래쪽 웅천까지 성을 쌓고 화의 진행
② 진주성 공격, 함락 : 의병장 김천일, 경상우병사 최경회, 충청병사 황진 등 전사
⑷ 명
① 왜의 화의 제의 : 심수경沈惟敬)을 왜에 보내 2~3년간 교섭 진행
②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요구 조건
ⓐ 명나라의 황녀를 왜의 후비로 삼을 것
ⓑ 감합인(무역허가 증명서)을 복원할 것
ⓒ 조선 8도 중 4도를 할양할 것
ⓓ 조선 왕자 및 대신 12인을 인질로 보낼 것
② 심수경 :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을 알고 거짓으로 보고
③ 1596년, 사신 파견 :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왜왕으로 책봉하는 책서(策書)와 금인(金印)을 전함
④ 도요토미 히데요시 : 분개, 재침 계획
⑤ 심수경 : 국가 기만죄로 처단
⑸ 1597년 1월 15일 왜 재침(정유재란)
① 조선과 명의 거센 반격으로 왜는 충청도를 넘지 못하다가 1598년 8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병사(病死), 철군 시작
② 왜 : 1597년 11월, 완전 패퇴
③ 전쟁 종식
3. 임진왜란이 3국(조선, 명, 왜)에 끼친 영향
⑴ 조선
① 연산군 이후 문란을 거듭하던 사회가 완전히 붕괴 : 경제적 파탄과 관료 기구의 부패가 극심
② 인명 피해
③ 농경지 황폐화 : 170만결 → 54만결
④ 납속책 시행
ⓐ 국가 재정 마련책
ⓑ 소정의 곡물이나 돈을 받고 납속한 자에게 일정한 특전을 부여하는 것
ⓒ 많은 향리, 서얼, 천민, 노비 등이 신분 상승의 기획 획득
⑤ 전공(戰功)을 세운 사람에게는 신분에 관계없이 특전을 주거나 면천 : 신분 제약이 많이 완화
⑥ 민간 생활 처참 : 인육(人肉)을 먹는 사태 발생
⑦ 내란 : 1594년 송유진의 난, 1596년 이몽학의 난
⑧ 문화재 소실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 많은 건축물 소실
ⓑ 서적, 미술품 등이 없어지거나 약탈
ⓒ 실록을 보관하던 사고 : 전주사고(적상산사고)만 남고 모두 소실
⑨ 국방 분야에 관심 증대
⑩ 타민족과의 갈등으로 애국심 고취
⑪ 병제(兵制) 개편, 무기 개량 착수, 병술 개혁
ⓐ 1594년, 훈련도감 설치 : 무예 조련
ⓑ 지방에 속오군(예비군 성격) : 교관을 파견하여 무예 조련
ⓒ 비격진천뢰, 화차 발명
ⓓ 조총을 실전용으로 배치
⑫ 숭명사상(崇明思想) 고취
ⓐ 관우 숭배 사상 전래 : 관우묘 설치
ⓑ 민간 사상에 큰 영향
⑵ 왜
① 국민 생활 피폐
② 봉건 제후 세력이 급격히 약화
③ 도쿠가와 바쿠후(德川幕府) 정권 장악 : 도쿠가와 이에야쓰(德川家康)
④ 도자기업 크게 발전 : 조선에서 끌려온 도공의 힘
⑤ 조선 활자의 영향 : 활자 기술 비약적으로 발전
⑥ 성리학을 배워 새로운 지도 이념을 수립하는 밑거름 마련
⑦ 『퇴계집』등 주요 서적을 조선에서 가져와 문화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 형성
⑶ 명
① 원군 파병 : 국가 재정 문란
② 국방에 어려움 초래 : 여진족에 의해 명이 망하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
'우리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옥선(板屋船) = 판옥전선(板屋戰船) (0) | 2018.01.25 |
---|---|
이순신(李舜臣, 1545~1598) (0) | 2018.01.25 |
중종(中宗, 1506~1544 재위) (0) | 2018.01.25 |
장녹수(張綠壽) (0) | 2018.01.24 |
연산군(1494~1506 재위)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