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2세기 전후 고려

 ⑴ 생산력 발전을 수반하여 정치 사회 구조가 변화하는 시기

 ⑵ 농업생산 증진

  ① 잉여축적이 가능

  ② 각 계층간의 분화가 심화

 ⑶ 지배층 내부의 대립

  ① 기존의 특권 귀족세력과 신흥세력간의 갈등

  ② 김부식(金富軾)을 대표로 하는 개경 중심의 문벌귀족

   ⓐ 유교를 정치이념과 학문체계로 수용 : 합리적인 정치운영 지향

   ⓑ 보수적이고 사대적(事大的)인 성격

  ③ 지방출신의 신흥세력

   ⓐ 도교의 풍수지리설과 같은 전통사상에 유교사상을 결합

   ⓑ 토속적이고 전통적인 성격을 강조

   ⓒ 고려왕조의 국가적 자주성을 내세우며 문벌귀족의 사회적 폐단을 지적

   ⓓ 개혁정치를 희구

   ⓔ 묘청, 정지상(鄭知常), 백수한(白壽翰) 등이 중심

   ⓕ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서경천도론(西京遷都論), 칭제건원론(稱帝建元論), 금국정벌론(金國征伐論) 등을 주장


2. 묘청의 난

 ⑴ 인종(1122~1146 재위)

  ① 칭제건원론, 금국정벌론 거절

  ② 서경천도론에 호의적

   → 내외적 위기의식이 가중됨에 따라 고려왕조 스스로가 국가의 기틀을 공고히 하지 않을 수 없는 사정을 반영한 것

  ③ 김부식 등의 개경 문벌 귀족 : 서경천도론을 반대

   ⓐ 유교입장에서 보면 풍수지리설은 미신적이고 비합리적

   ⓑ 서경천도에 대한 정치적 위기의식이 가중

   ⓒ 서경에서 재이(災異)가 자주 발생 : 서경 천도를 반대하면서 묘청의 처단을 요구

 ⑵ 1135년 1월, 난(亂) 야기

  ① 분사시랑(分司侍郞) 조광, 병부상서(兵部尙書) 유참 등과 함께 서경에서 일으킴

  ②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 군대 이름을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

  ③ 개경 출신의 인사 대부분을 감금

  ④ 군사 교통의 요지인 절령(황해 자비령)을 차단

  ⑤ 주요 관직에 모두 서경인으로 임명

 ⑶ 진압

  ① 정부 관군의 총책임자로 김부식을 임명

  ② 군사통솔의 책임자를 문벌 귀족들로 구성

  ③ 김부식

   ⓐ 출정에 앞서 개경에 있는 백수한, 정지상, 김안 등의 서경천도파 살해

   ⓑ 평산, 관산을 거쳐 서경으로 진군

  ④ 묘청 군대

   ⓐ 약 1년간 관군에게 저항

   ⓑ 1136년 2월, 항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