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북 9성이란?

 ⑴ 9성이 어느 성을 가리키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 설치될 때의 9성과 여진에 돌려줄 때의 9성 명칭이 같지 않기 때문

 ⑵ 함주(咸州), 영주(英州), 웅주(雄州), 길주(吉州), 복주(福州), 공험진(公鎭), 통태진(通泰鎭), 진양진(眞陽鎭), 숭녕진(崇寧鎭)

 ⑶ 진양진, 숭녕진 대신 의주(宜州), 평융진(平戎鎭)


2. 윤관

 ⑴ 1104년, 문하시랑평장사 임간(林幹)을 보내 싸우게 했으나 패배

 ⑵ 추밀원사 윤관의 패배 분석 : 고려군은 보병 중심인데 거란군은 기병 중심

 ⑶ 1104년 12월, 별무반(別武班) 조직

  ① 기병 : 신기군(神騎軍)

  ② 보병 : 신보군(神步軍)

  ③ 승병 : 항마군(降魔軍), 도탕(跳), 경궁(梗弓), 정노(精弩), 발화(發火) 등

 ⑷ 1105년 6월, 태자소보판병부사(太子少保判兵部事) : 병권 장악

 ⑸ 1105년 11월,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⑹ 1106년 9월,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수행되는 천수사(天壽寺)의 일을 감독

 ⑺ 1107년 12월, 여진 정벌 → 9성 구축

  ① 직책 : 원수

  ② 17만 명의 군사를 중·좌·우의 3군으로 편성, 수군(水軍)까지 동원


3. 9성 구축후 고려

 ⑴ 여진족

  ① 완옌부를 중심으로 모여 무력항쟁

  ② 9성 환부와 생업을 편안히 해주면 자손대대로 배반하지 않고 조공을 바치겠다고 약속

 ⑵ 고려 : 화평론(和平論)이 대세

  ① 여진족의 공세 앞에 9성을 지키는 것도 어려운 형편

  ② 9성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지키기가 곤란

  ③ 무리한 군사동원으로 백성들이 원망

  ④ 9성을 여진족에게 돌려주기로 하고 1108년 7월부터 9성에서 철군

 ⑶ 윤관

  ① 패군의 죄를 뒤집어 쓰고 관직과 공신호 박탈

  ② 1110년, 복직 : 수태보 문하시중 판병부사 상주국 감수국사(守太保門下侍中判兵部事上柱國監修國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