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헌애왕후

 ⑴ 18세에 즉위한 목종의 어머니

 ⑵ 스스로 천추태후로 부르며 섭정(攝政)

 ⑶ 김치양(헌애왕후의 정부(情夫))과 부부연을 맺고 그들의 소생으로 왕위를 이으려고 계획


2. 유행간

 ⑴ 왕권을 상실한 목종의 동성연애(同性戀愛) 대상

 ⑵ ‘합문사인’ 벼슬에 취임 : 왕처럼 행동

 ⑶ 유충정을 목종에게 소개 : 병약한 목종을 대신해 유행간과 함께 정사(政事)를 좌지우지


3. 대량원군 왕순

 ⑴ 헌애왕후 친동생 헌정왕후와 왕욱의 불륜에서 태어난 아들

  ① 헌정왕후 : 산고(産苦)로 죽음

  ② 왕욱 : 귀양

 ⑵ 목종의 후계자 자격을 갖춘 유일한 혈통

 ⑶ 유행간의 선위 반대 : 목종은 은밀히 추진하면서 서경 도순검사 강조(康兆)를 부름


4. 강조(康兆)

 ⑴ 위종정, 최창 : 왕의 병세가 악화되어 헌애왕후와 김치양이 왕명을 날조한 것이라 주장

  ① 왕이 살해되었다는 소문이 무성해 이것을 믿음

  ② 동주 용천역까지 왔다가 다시 서경 본영으로 돌아감

 ⑵ 헌애왕후 : 강조가 개경에 오면 계획에 차질이 생긴다고 생각, 그를 생포하기로 결정

 ⑶ 강조 아버지

  ① 헌애왕후의 계획을 알아차림

  ② 강조에게 보낸 편지 : “왕이 이미 죽고 없으니 병사를 거느리고 와 국난을 평정하라”

 ⑷ 목종 폐위, 현종(1009~1031 재위) 즉위

  ① 강조는 군을 일으켜 평주에 도착한 후 왕이 살아있다는 것을 암

  ② 부하의 건의로 목종을 폐립(廢立)할 것을 결심

  ③ 김치양 일파 제거를 위해 왕에게 귀법사로 피신해있으라고 제의

  ④ 목종을 폐위시키고 대량원군을 왕으로 옹립 : 현종(1009~1031 재위)

  ⑤ 김치양, 유행간 일파 숙청

  ⑥ 강조 부하에 의해 법왕사에 있던 목종은 피살 : 자살로 꾸밈

  ⑦ 현종 즉위후 거란이 고려를 침입하는 빌미 제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