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란의 2차 침입때 회군 조건

 ⑴ 고려 왕의 거란 친조(親朝)

 ⑵ 강동 6주 반환

 ⑶ 고려

  ① 왕이 아프다는 핑계로 거란에 친조하지 않고 대신 형부시랑 진공지를 파견

  ② 강동 6주 반환도 거부


2. 강감찬의 귀주대첩(龜州大捷, 1019)

 ⑴ 1018년 12월, 소배압(簫排押)이 지휘하는 10만 대군 침입

 ⑵ 고려 : 침입을 예상하고 20만 군대 조성 - 상원수는 평장사 강감찬

 ⑶ 1019년, 고려군이 거란군을 구주(龜州, 강동 6주의 하나)에서 크게 물리친 싸움

  ① 강감찬과 강민첨(姜民瞻)을 보내어 흥화진성의 삼교천(三橋川)에서 대적

  ② 패배한 거란은 강동 6주를 우회하여 개경 공격을 시도

  ③ 자주(慈州:지금의 평남 자산)에서 다시 강민첨의 공격을 받아 패배

  ④ 거란은 계속 남진하여 개경 근방까지 왔다가 승산이 없다고 판단, 퇴각

  ⑤ 강감찬은 구주에 병사를 매복시켜 후퇴하는 거란군을 공격, 거의 전멸

  ⑥ 거란의 10만 군사 중 살아돌아간 자는 수천 명


3. 1020년, 양국의 국교 회복

 ⑴ 거란의 연호 사용

 ⑵ 송과 외교 단절

 ⑶ 거란이 요구한 국왕 친조와 강동6주의 반환은 거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