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형성원인.
 ⑴ 농민자유의 확대.
  ① 장원제 변모.
   Ⓐ 봉건제 안정.
   Ⓑ 잉여생산물이 증가.
   Ⓒ 인구 증가.
   Ⓓ 대개간운동.
  ② 12-13세기에 농민의 부담이 경감.
  ③ 농노해방.
 ⑵ 상업의 부활.
  ① 잉여농민의 상업종사가 확대.
  ② 10세기후-11세기에 새로운 상인층이 형성.

 

2. 고대 도시와의 차이점.
 ⑴ 고대: 토지소유층이 주축.
 ⑵ 중세.
  ① 상공업자층이 도시주민의 주축.
  ② 화폐경제, 시민의식이 발달: 근대 시민사회의 Ideology를 제공.

 

3. 위치.
 ⑴ 교통왕래가 빈번한 지리적 요충지에 도시가 발생.
 ⑵ 고대도시 자리에 도시범위가 확대.
 ⑶ 도시 非(비)잔존 지역: 지방귀족의 성곽요새를 중심으로 발달.

 

4. 도시활동: Norman, 아랍인의 자극을 받아 원거리 무역에 종사.
 ⑴ Italy 항구도시: 지중해 무역.
 ⑵ 북부 독일도시.
 ⑶ 북부유럽문화권과 지중해 무역권을 연결하는 내륙지방: 定期市(정기시) 교역.

 

5. 도시동맹.
 ⑴ 개요
  ① 도시가 영주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인주도하에 형성.
  ② 12세기말에 자치권을 획득.
 ⑵ 형태 (북구형: 봉건귀족을 배제. 남구형: 봉건귀족과 상공인이 공존).
  ① Italy와 독일 도시: 강한 자치권.
  ② 영국도시: 자치권이 약함.
  ③ 프랑스도시: 전형적인 중세도시.

 

6. Guild(길드).
 ⑴ 의미: 중세도시인의 자유를 보존하기 위한 배타적인 조직체.

  ※ 지유? 개인적인 자유가 아닌 집단적인 자유.
  ① 상인 길드: 상인 지배계급으로 성장하여 정치귀족化.
  ② 수공업 길드: 주인(Master) - 職人(직인) - 徒弟(도제)라는 신분관계를 유지.
 ⑵ 멤버간에 평등.
 ⑶ 멤버간의 자유경쟁을 막고 시장 독점을 시도: 폐쇄적이고 배타적인 성격으로 경제의 자유로운 발전을 沮害(저해).
 ⑷ 도시동맹 형성: 멤버간의 공동이익과 상부상조를 위해 도시간에 형성.
  ① 롬바르디아 동맹: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동맹.
  ② 한자동맹.
   Ⓐ 북유럽 상권을 장악.
   Ⓑ 하나의 독립국처럼 활동.

 

7. 의의.
 ⑴ 도시발달은 非(비)봉건적이고 非(비)농업적인 사회세력의 출현을 뜻한다.
 ⑵ 시민계급이 성장.
 ⑶ 계약 사상이 출현.
 ⑷ 시장경제가 발달.
 ⑸ 농촌적인 봉건사회의 해체를 촉진.

'서양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 봉건사회의 변화  (0) 2019.12.19
중세 문화  (0) 2019.12.19
십자군(十字軍, 1096-1291)  (0) 2019.12.19
Islam(이슬람) 문화  (0) 2019.12.19
Byzantine(비잔틴) 문화  (0) 2019.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