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⑴ 고대 Rome문화의 전통을 승계.
 ⑵ German 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특색을 지닌 문화를 창출.

 

2. 특징.
 ⑴ 기독교 중심의 문화.
 ⑵ 교회가 신앙 생활과 일상생활면에서 전체를 지배: 학문과 예술에 큰 영향.

 

3. 학문.
 ⑴ 스콜라 철학.
  ① 신학이 모든 학문의 으뜸이다.
  ② 철학은 신학의 시녀이다.
  ③ 그리스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도입으로 신학내용이 풍부하게 되었다.
 ⑵ 보편 논쟁: 신앙과 이성간의 조화 및 보편적 관념의 실재여부에 관한 토론.
  ① 實在論(실재론).
   Ⓐ Platon을 계승.
   Ⓑ 대표자: 안셀우스.
   Ⓒ 보편은 감각 세계를 초월하여 실재한다.
   Ⓓ “신의 실재에 대한 신앙은 이성에 앞선다.”
  ② 有名論(유명론).
   Ⓐ 아리스토텔레스를 계승.
   Ⓑ 대표자: 로스켈리누스.
   Ⓒ 보편은 개체적 사물이 있은 뒤에 실재한다.
   Ⓓ “보편적인 교회는 없고 개별적인 교회만 존재한다.”
  ③ 中道論(중도론).
   Ⓐ 대표자: 아벨라르.
   Ⓑ 신학에서 ‘이성’을 중시.
   Ⓒ “보편적 이념을 실재하나 개체적 사물을 떠나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④ 토마스 아퀴나스.
   Ⓐ 온건한 실재론자.
   Ⓑ 《신학대전》에 집대성.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도입하여 기독교 교리를 체계화.

 

4. 대학.
 ⑴ 교회와 수도원의 부설학교가 12세기에 이슬람과 그리스 학문의 전파로 유럽인의 지적 활동이 활발해지자 대학으로 발전: 볼로냐, 파리, 옥스포드 등.
 ⑵ 점차 세속군주와 교회통치에서 벗어나 자치권을 획득.

 

5. 건축.
 ⑴ 종교적인 건축이 대표적이다.
 ⑵ Byzantine 양식 → 11세기 로마네스크 양식 → 12세기 고딕양식.

 

6. 미술: Rome 문화와 German 문화의 융합을 시도.


 (결) ① 기독교가 중세유럽에 큰 영향을 끼쳤으나 문화·생활을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하였다.
 ② 미신적, 세속적, 이교도적인 관습이 농민과 도시민의 서민생활에 두드려져 현세의 향락에도 관심이 많았다.
 ③ 중세생활은 종교적이면서도 세속적인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서양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년전쟁(1338-1453)  (0) 2019.12.19
중세 봉건사회의 변화  (0) 2019.12.19
중세 도시  (0) 2019.12.19
십자군(十字軍, 1096-1291)  (0) 2019.12.19
Islam(이슬람) 문화  (0) 2019.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