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닌(V. I. Lenin)의 4월 테제.
 ⑴ 1917.4.4일, 망명에서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 후 선언.
 ⑵ 시민 민주주의 혁명을 사회주의 혁명으로 인도하기 위한 강령.
 ⑶ ‘모든 권력을 Soviet에게’ 구호하에 ‘혁명을 평화적으로 발전시키는 노선’을 의미.
 ⑷ 주요내용.
  ① 임시정부의 모든 지시를 거부.
  ② 전쟁의 성격을 ‘제국주의적인 강도 전쟁’으로 규정.
  ③ 볼세비키가 Soviet 내에서 다수를 획득할 것을 주장.
  ④ 토지 국유화(토지개혁), 단일한 국가은행, 생산·분배에 대한 노동자 통제 확립을 사회주의로의 첫걸음으로 요구.

 

2. 배경.
 ⑴ 계속되는 전쟁수행 정책.
 ⑵ 사실상 권력을 쥐고 있는 Soviet탄압.
 ⑶ 페테르부르크에서 7월 시위 발발.
  ① 유혈 진압.
  ② 모든 권력을 임시정부가 쥐게 되어 이중권력이 종식.

 

3. 경과.
 ⑴ 1917.7.4: 레닌이 당 지시에 따라 핀란드로 망명.
 ⑵ 10.7: 레닌이 비합법적으로 핀란드 망명에서 귀환.
 ⑶ 10.12: 혁명 군사 위원회 설치.
 ⑷ 10.24: 페테르부르크에서 무장봉기 시작.
 ⑸ 10.25: 임시정부 붕괴와 혁명군사위원회로의 권력이행을 선포.

 

4. 성공 원인.
 ⑴ 노동자 계급의 오랜 투쟁 경험.
 ⑵ 마르크스, 레닌주의자 투쟁당에 의한 지도.
 ⑶ 노동자 계급의 강력한 동맹동반자, 특히 근로 농민층이 있었다.
 ⑷ Soviet 강화: 2월혁명 이후 대중의 조직자.
 ⑸ 세계 자본주의가 군사적으로 투쟁하는 두개의 진영으로 갈라졌다.

 

5. 세계사적 의미.
 ⑴ 세계를 두개의 사회체제, 즉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로 나누었다.
 ⑵ 1917년이래 두체제의 투쟁: 세계사의 주요내용.
 ⑶ 반제운동(反帝運動)을 자극.
 ⑷ 민족 해방운동의 발흥: 제국주의적 식민지체제의 위기가 시작.

 

6. 해석.
 ⑴ 볼세비키의 혁명관.
  ①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
  ② 러시아에서 일어났지만 그 의의는 러시아에만 국한시켜 이야기할 수 없다.
  ③ 그 후에 일어난, 그리고 일어날 모든 혁명, 산업 프롤레타리아와 그 밖의 노동계급이 계급투쟁과 피압박 민족의 해방 운동을 위한 모델 또는 거대한 시험 도장.
  ④ 강조 부분.
   Ⓐ 역사의 합법칙성.
   Ⓑ 혁명적 승리의 필연성.
   Ⓒ 역사의 도구로서의 볼세비키의 역할과 레닌의 천재성.
  ⑤ 한계점: 혁명을 역사의 견인차요 피압박 민중의 축제로 찬미하는 등, 현실적 결과에 대한 구체적 검토보다는 혁명 이상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⑥ 학자: I. I. Mints, P. N. Sobelev, V. P. Naumov 등.
 ⑵ 자유주의적 혁명관.
  ① 소련에서 역사학의 정치도구화 추세는 강한 반작용을 불러일으켰다.
  ② 한계점: 사회주의 현실의 부당성을 고발하기 위해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혁명의 타당성까지를 외면하려는 편파성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③ 처음부터 부정일변도는 아니었다.: 볼세비키 혁명이 우발적인 쿠데타가 아니라, 러시아 민중의 폭발적 욕구가 분출되어 이루어진 당연한 귀결이라고 하였다.
  ④ 초창기에 발간된 혁명사.
   Ⓐ 대부분 인물과 정치적 사건 중심으로 서술.
   Ⓑ 혁명의 사회 경제적 원인 분석이 결여.
  ⑤ 냉전 시작과 더불어 새로운 해석이 시도.
   Ⓐ 혁명 결과에 대해 부정적인 결론부터 내린 후 그것에 대한 책임을 추적하는 식으로 접근하는 인물 중심, 사건 중심의 정치사가 주종.
   Ⓑ 레닌의 권력욕에 의해 이루어진 우발적 사건.
   Ⓒ ‘밖으로부터의 혁명이론’: 러시아 혁명은 후진국의 혁명으로 현대 혁명의 새로운 범주에 속했으며, 외국 영향이 없었다면 생각할 수도 없었다.
   Ⓓ 세계사적 맥락에서 혁명을 파악하려는 접근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수정주의 학파를 탄생시킴.
  ⑥ 학자: W. H. Chamberlin, E. H. Carr, Ronald G. Suny 등.
 ⑶ 수정주의적 혁명관.
  ① 볼세비키 혁명관과 자유주의적 혁명관의 공통점.
   Ⓐ 정치중심, 주요 인물 중심으로 엮었다.
   Ⓑ 레닌과 볼세비키 역할: 반대 입장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 1917년의 혁명과 그 혁명 후에 드러난 소련의 현실 사이의 관계를 단순한 연속 관계로 보았다.
   Ⓓ 현재 관심을 혁명 해석에 연결시키는 방법론이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② 냉전 분위기가 극복되면서 러시아 혁명 연구는 민중주의적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 졌다.
  ③ 수정주의 학파 대두 이유.
   Ⓐ 소련 연구 전문가의 역량 팽창: 해빙과 데당트 덕분에 서방 학자들이 소련에 가서 알려지지 않은 자료를 토대로 혁명의 여러 측면을 연구.
   Ⓑ 베트남 전쟁때부터 노골화되기 시작한 자유주의 체제에 대한 환멸과 중국혁명 및 제 3세계의 민족 해방, 민중 해방운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들 수 있다.
  ④ 수정주의의 공통된 특징.
   Ⓐ 혁명에 대한 사회·경제사적 접근 중요성을 강조.
   Ⓑ 레닌이 없어도 혁명이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주어 혁명은 레닌과 볼세비키의 역사라기 보다는 민중의 역사임이 강조.
  ⑤ 기여도: 민중혁명으로서의 1917년 2월과 10월의 혁명의 전개과정을 상세히 조명.
  ⑥ 한계점: 종합적인 재해석까지는 이르지 못하였고 러시아 혁명에 대한 여러가지 뿌리 깊은 편견을 깨는 단계에 머물렀다.
  ⑦ 학자: Leopold Haimson, Theda Skocpol, Sheila Fitzpatrick 등.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