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사
⑴ 원인론.
① Edmund Burke.
Ⓐ 음모설.
Ⓑ 원인: 이기적이고 불순한 자들의 음모.
② Franḉois Mignet.
Ⓐ 폭정과 압박에 대한 정당한 정치적 반항
Ⓑ 원인: 피지배자층의 사회적 저항.
③ Thiers와 Michelet: 폭정과 정부에 대한 프랑스 전체의 자연적이고 혁명적인 공기.
④ Tocquiville: 폭력과 불평등에 대한 증오심 및 자유 갈구.
⑤ G. Lefebvre.
Ⓐ 간접적 원인: 자유와 평등을 주장하는 계몽사상에 자각한 부르주아의 성장.
Ⓑ 직접적 원인: Louis ⅩⅥ가 해결할 수 없었던 경제사태.
⑵ 성격론.
① Thiers 와 Michelet.
Ⓐ 정치사 중심.
Ⓑ 당대인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웠다.
② Tocquiville: 과학적인 규명 시작.
③ A. Aulard: 정치사 연구의 최고 수준.
④ J. Taures: 계급대립으로 파악.
⑤ Mathiez.
Ⓐ ‘복합혁명’이라고 처음으로 주장.
Ⓑ 혁명에서 농민을 종적(縱的)인 것으로 보고 도시 시민을 중심으로 파악.
⑥ G. Lefebvre.
Ⓐ 귀족혁명, 시민대중혁명, 농민혁명으로 구분.
Ⓑ 농민혁명을 강조.
Ⓒ 사회적인 혁명: 법률상의 혁명.
⑦ Sagnce: 농민혁명으로 평가.
⑧ G. Rude: 샹퀼로트 = 혁명적인 민중과 군중.
⑨ A. Soboul: Marxist.
Ⓐ 계급투쟁: 전형적인 부르주아 혁명.
Ⓑ 현재 부인되고 있다.
⑩ A. Cobban.
Ⓐ 부르주아 혁명이 아니다.
Ⓑ 부르주아에게 어떠한 혜택도 없었다.
⑪ G. Tayler: 부르주아 혁명이 아닌 귀족혁명.
⑫ R. R. Palmer: 부르주아 혁명이다.
⑬ E. Eisenstein.
Ⓐ 주체세력: 1계급(승려), 2계급(귀족), 3계급(부유 도시인)의 엉성한 집합체.
Ⓑ 부르주아 혁명이 아니다.
2. 혁명의 원인.
⑴ 배경: 원인(遠因).
① 정치적 배경.
Ⓐ 절대주의 지배질서 붕괴.
Ⓑ 절대주의의 통치능력 상실.
Ⓒ 영주권의 약화: 영주의 농민 지배권의 약화.
Ⓓ 왕권(사회 제(諸)계급의 세력 균형)의 무력화(無力化) 및 마비.
② 경제적 배경.
Ⓐ 경제 구조면에서 일대 전환이 일어남.
Ⓑ 중세적인 영주제 농업경제 → 근대적인 자본주의 경제.
a. 1730년대 현저한 경제 발달:상품 생산 증대, 교환 경제 발전, 인구증가.
b. 길드 체제가 약화.
c. 농촌 Manufacture발전.
d. 농업.
- 영주제 경영(장원) → 자본주의적인 농업 경제.
- 대차지기업농(大借地企業農) 출현.
③ 사회 신분적 배경.
Ⓐ 봉건적인 신분제도가 존속.
Ⓑ 법제적인 신분질서 내부에서 복잡한 계층분열 현상이 발생.
Ⓒ 1신분(승려, 성직자): 상급 성직자와 하급 성직자.
Ⓓ 2신분(귀족).
a. 반(反)혁명세력.
b. 전통귀족, 법복귀족[관직귀족], 지방귀족.
Ⓔ 제 3신분: 대체적으로 혁명에 찬동.
a. 상층시민과 농민.
- 부르주아, 자유주의 개명귀족(開明貴族)과 같이 온건하고 보수적인 성격.
- 혁명초기에 제 3신분을 대표.
- 계급의식이 왕성.
b. 중층시민.
- 소시민: 제3신분 중 최다수.
- 혁명에 대해 진보적 경향.
c. 하층대중.
- 빈곤한 대중: 의회외(外) 세력.
- 소농, 빈농, 농업 노동자.
- 과격파.
⑵ 직접적 원인: 근인(近因).
① 적자재정(赤字財政)의 축적: Louis ⅩⅣ 말년부터 만성적으로 계속되었다.
Ⓐ 조세제도의 문제: 직접세가 없어 재정이 부족.
a. 간접세 유지: 봉건적인 조세제도.
b. 국왕령 수입이 재정의 主.
c. 특권 계급의 면세 특권으로 재정곤란이 심각.
d. 재정적자 해소를 위해 공채 발행: 재정 적자의 심화.
Ⓑ 무모한 대외 전쟁.
a. Louis ⅩⅣ: 자연 국경선을 추구하여 끊임없는 침략전쟁을 수행.
b. Louis ⅩⅤ: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전쟁.
c. Louis ⅩⅥ: 미국독립혁명을 지원.
Ⓒ 왕실의 비생산적인 지출.
a. 호화로운 궁정생활과 사치생활.
b. 궁정귀족에게 국고 지출: 연금을 지불.
c. 각종 토목 사업.
② 미국독립혁명.
Ⓐ 프랑스가 영국에 대한 보복으로 의용군 파견: 전쟁비 지출
Ⓑ 왕정에 대한 반감증대에 큰 역할: 국민의 희망과 사기고취에 큰 역할.
③ 계몽사상의 영향.
Ⓐ 자유와 민주주의 사상 등이 시민계급에게 사상의 기반을 제공.
Ⓑ 중농주의, 자유방임 시장이 출현: 중상계층이 대두.
3. 경과.
⑴ Louis ⅩⅥ.
① 재정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개혁안을 제시.
② 귀족의 반대로 실패.
Ⓐ 절대왕정에 최초의 타격을 가한 것은 귀족정 실현을 시도했던 귀족.
Ⓑ 삼부회 소집: 귀족의 반항으로 혁명이 시작.
⑵ 국민의회.
① 《인권선언》발표: 봉건제 폐지 선언.
Ⓐ 인간과 시민의 권리를 선언: 자유, 평등, 박애.
Ⓑ 근대 민주주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헌중의 하나.
Ⓒ 주권재민(主權在民)과 재산권을 확인.
Ⓓ “국가 성립 목적은 자연권 보존이다.”: 저항이 가능.
② 통일적인 법원체계 도입.
③ 교회재산 몰수.
Ⓐ 지폐발행.
Ⓑ 교회재산 매각.
④ 수도원 해산.
⑤ 성직자 선출제 도입.
⑥ 경제활동의 자유 및 자본주의를 추구.
Ⓐ 동업조합 폐지.
Ⓑ 국내관세와 통행세 폐지.
⑦ 91년 헌법: 철저하게 유산계급(有産階級)의 지배체제.
Ⓐ 권력분립 원칙에 입각한 단원제.
Ⓑ 입헌군주제.
Ⓒ 참정권 제한.
⑶ 입법의회(1791): 지롱드파가 주도.
①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 대한 혁명전쟁을 시작.
② 왕권을 정지.
③ 국민공회 소집.
⑷ 국민공회.
① 프랑스 시민군이 프로이센에게 승리: 발미전투.
② 1792년, 제1공화정 선포.
③ 산악파의 갈등.
Ⓐ 자코뱅파: 소생산자층, 중산적 부르주아지.
Ⓑ 지롱드파: 상층 부르주아지.
⑸ 자코뱅파 장악.
① Louis ⅩⅥ 처형.
② 유럽 국가들이 대불동맹(對佛同盟)을 결성.
③ 혁명재판소와 공안위원회 설치.
④ 93년 헌법.
Ⓐ 진보적이고 민주주의적인 헌법.
Ⓑ 봉건적인 공납을 무상화.
⑤ 1793년, 로베스피에르 중심의 공안위원회(公安委員會): 혁명독재와 공포정치.
⑥ 테르미도르 반동(1794).
⑹ 95년 헌법.
① 양원제.
② 입법부 설치.
③ 총재정부: 5명의 총재 행정부.
⑺ 나폴레옹 집권(1799): 혁명 종식.
4. 이념 및 과제.
⑴ 이념: 자유, 평등, 박애.
⑵ 과제: ‘자유의 상실함이 없이 평등사회를 어떻게 건설하느냐?’
5. 의의: 전형적인 시민혁명.
복합혁명: 귀족혁명, 부르주아혁명, 도시대중혁명, 농민혁명이 혼합.
⑴ 정치적인 측면: 절대왕정을 타도하고 시민계급이 권력을 장악.
⑵ 경제적인 측면.
① 봉건적인 잔재를 제거: 토지개혁, 농노적인 제도 철폐.
② 자본주의가 보다 더 순조로운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⑶ 사회적인 측면: 민주주의의 발전모델을 제시.
① 신분적이고 법적인 불평등과 특권을 타파.
② 귀족계급에게 시민계급이 승리: 근대 시민사회로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다.
⑷ 사상적인 측면: 종교적이고 낡은 전(前)세대의 사고방식에 대해 계몽사상이 승리.
'서양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혁명(Enclosure 운동) (0) | 2019.12.19 |
---|---|
나폴레옹시대 (0) | 2019.12.19 |
미국독립혁명론 : 연구 변천을 중심으로 (0) | 2019.12.19 |
미국독립혁명(1776) (0) | 2019.12.19 |
계몽사상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