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극단을 수용할 줄 아는 우리 민족의 문화가 만들어낸 결정체 중 하나가 한옥
⑴ 북방문화인 온돌 + 남방문화인 마루
⑵ 개방성 + 폐쇄성
2. 마루 유래
⑴ 남방전래설
① 태평양 문화권과 연한 지역에서 발생한 고상주거(高床住居)의 한 방식
② 일반적인 학설
⑵ 북방전래설
① 중국 문화와 관계된 종교건축과 궁전건축의 모방
② 퉁구스족은 자신들이 사는 천막 가운데 신성한 공간을 두고 '말루'(Malu), '마로'(Maro) → 마루
③ 그 공간 또한 자기 종족의 신령이나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계단 또한 가장 신분이 높은 손임이 앉는 귀한 장소
3. 마루 의미와 기능
⑴ 의미
① 한옥의 대청마루, 툇마루, 누마루 등 생활공간의 구조
② 등성이를 이룬 지붕이나 산이나 억덕의 꼭대기 : 산마루, 언덕마루, 지붕마루 등
③ 물결의 가장 높은 부분
④ 일이 한창인 고비 : '마루 넘은 수레 내려가기'
→ '위', '최고'를 의미
⑵ 기능
①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피하고 여름 햇빛을 차단하며 앞뒤로 통풍이 되도록하는 기능
② '첩바람' : 마루밑에서 바람이 감질나게 슬쩍 슬쩍 불어오는 바람
4. 쓰임과 기능에 따라 구분
⑴ 누마루
①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
② 지면으로부터 높이 띄워 지면의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한 누각형식의 마루
⑵ 툇마루
① 툇간에 놓인 마루
② 통로 구실도 하고, 간단한 가사(家事)도 처리할 수 있는 공간
③ 서민들이 애용하는 마루
④ 방앞이나 뒤에 반 칸 또는 반반 칸의 공간을 들이는 마루
⑤ 방 창문을 열면 바로 툇마루
⑥ 통로 구실
⑦ 간단한 집안일이 이루어지기도
⑧ 여러 모로 다양한 쓸모와 아름다움이 발생
⑶ 골마루 : 안방이나 건넌방에 딸린 골방처럼 좁은 마루
⑷ 널마루 : 널판지로 깐 마루
⑸ 들마루 = 평상
① 가장 실용적인 것
② 이동이 가능한 마루
⑹ 대청(大廳)마루
① 안방(큰방)과 건너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②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③ 조선 시대 상류 주택의 의식과 권위를 표현
④ 각각의 방을 연결하는 공간 : 거실
⑤ 상류 계층에서 중심적인 역할
⑺ 장마루 : 한 방향으로 걸린 귀틀 위에 폭이 좁고 긴 마루장을 촘촘히 이어 붙여 깐 마루
⑻ 헌함 : 건너방이나 누각,대청의 밖으로 돌아가며 놓은 작은 마루
5. 매개적 기능을 하는 공간
⑴ 고정된 하나의 목적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⑵ 두 개의 공간을 서로 연결하면서 기능적으로는 중간적인 완충지대 역할을 하는 곳
⑶ 걸터앉을 수 있는 중간 공간
⑷ 인간과 신을 이어주는 매개 공간
① 조상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
② 신과 인간이라는 상하 개념의 두 존재가 마주할 수 있는 공간
⑸ 자연과 인간의 매개 공간
① 안팎 경계가 모호한 한옥은 입지를 중요하게
② 집 앞의 자연 경관을 쉽게 집안으로 끌어오는 역할
⑹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위한 매개 공간
→ 안과 밖의 완충 장치 : 사람과 자연, 이웃간의 경계가 그만큼 누그러질 수 있었던 것
※ 마루는
① 방, 부엌같은 필수 생활공간이라기보다는 여유를 표현하는 사치공간
② 외부 공간과의 관계를 활발히 하는 정서 공간
③ 어떤 용도로든 쓸만큼 전용성이 큰 공간
④ 공식적 활동이 일어나는 공적 공간
⑤ 가장 높고 신성한 곳
⑥ 내부와 외부를 넘나들며 자연과 소통하는 경계가 없는 공간
⑦ 비어 있지만 비어 있기에 오히려 가득 찬 역설적 공간
⑧ 한국인의 정서속에 남아 있는 또 하나의 고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