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돌?

 ⑴ 따뜻할 온(溫) + 돌 : 따뜻하게 데운 돌

 ⑵ 순 우리말 '구들' : 구운 돌의 약자

 ⑶ 아궁이에서 땔감을 연소시켜 방바닥에 깔린 구들장을 데우고 뜨거워진 구들장의 방축열로 온기가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하는 난방 방식

 ⑷ 김치와 함께 한민족 문화를 상징

 

2. '배부름'과 '등따심' 

 ⑴ 삶의 이치가 제대로 운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징표라 생각

 ⑵ '등따습고 배부르면 만석군 부러울게 없다(정승자리 준대도 싫다)'

 ⑶ '구들장을 지다' : 잠자다, 눕다

 ⑷ '항상 구들장을 짊어지고 있다' : 특정한 일없이 빈둥빈둥 놀고 있는 사람

 ⑸ '등골이 식었다' : 죽음

 

3.『구당서』(舊唐書)「고구려전」: 고구려 살림집에는 구들 시설이 있어 겨울철을 따뜻하게 지냈으며 구들이 고구려만의 특색

 

4. '온돌'이라는 말은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등장

 ⑴ 정확히는 『세종실록』7년 

 ⑵ 태종 17년 : 성균관 유생들 가운데 병을 앓는 이들들 위해 온돌방 하나를 만들도록 한 기록

 ⑶ 온돌은 만들기가 어렵고 비교적 연료 소모율이 높았기 때문에 어느 시기까지는 부유층이나 병자 또는 노약자 방에 주로 사용되다가 점차 보현화되었음을 뜻한다

 

5. 온돌 문화

 ⑴ 바닥과 분리된 침대(문화)와 달리 방이란 공간 전체가 잠을 잘 수 있는 장소

 ⑵ 좌식 문화 발달

  ① 신발을 벗고 들어간다

  ② 각 방마다 그 앞에 댓돌이 놓여 있다

  ③ 신고 벗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무신'

  ④ 책상다리를 하고 편하게 앉을 수 있게 '한복'

 ⑶ '드러 눕다' : 들어가서 눕는다

 ⑷ 일어나다 : '나간다'는 의미

 ⑸ 온돌의 열기를 보전

  ① 한옥 지붕 낮다

  ② 방이나 마루 크기, 실내 가구 높이가 낮다

 ⑹ 식탁문화보다 밥상문화 발달

 ⑺ 우리 정서에도 많은 영향

  ① 가족 전체가 더불어 식사

  ② 각종 대소사(大小事) 의논

  ③ 가족 윤리와 질서가 형성 : 아랫목은 웃어른에게, 윗목은 젊은이에게

 

6. 아랫목

 ⑴ 윗사람이 앉는 자리 즉 상석(上席)

 ⑵ 손님에게 권하는 자리

 ⑶ 집안 가장이나 어른은 아랫목, 아이는 윗목

 ⑷ 아랫목의 따뜻함 : 집과 가족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의 인식을 형성

 ⑸ '아랫목만 따뜻해도 면례(緬禮)하지 않는다'

  ① 면례 

   ⓐ 무덤을 옮겨서 장사(葬事)를 다시 지내는 일

   ⓑ 집안에 안 좋은 일이 생겨서 조상 무덤을 옮겨야 할때 쓰는 말

  ② 아랫목이 따뜻하면 집안에 아무 탈이 없다

  ③ 온돌을 중요시하는 온돌 문화가 만들어 낸 표현

 ⑹ 한민족 생활 문화의 필수 공간

 

7. '몸을 지진다'

 ⑴ 아랫목에 피곤한 몸을 누이는 것

 ⑵ 고된 노동을 견뎌낼 수 있는 힘 중에 하나 : 구들장

  ① 두한족열(頭寒足熱) : 다리 쪽은 따뜻하게 하고 머리 쪽은 서늘하게 한다

  ② 체온의 이상적 상태 유지

 

 ※ 가족 구성원들이 다 함께 모여살던 시절 화목함의 상징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호지  (0) 2023.06.04
마루  (0) 2023.06.04
회식  (0) 2023.06.04
보자기  (0) 2023.06.04
옷고름  (0)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