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형태에 따른 분류

 ⑴ 맞배지붕 = 박공지붕

  ① 삼국시대에 대부분 맞배지붕

  ② 엄숙하고 경건한 기풍

  ③ 건물의 앞뒷면에만 지붕면이 형성되는 가장 간단한 형식

  ④ 옆에서 보면 책을 반쯤 펴놓은 팔(八)자 모양 

  ⑤ 박공면 : 두개 지붕면이 서로 만나 삼각형을 이루는 삼각벽면

  ⑥ 구조가 간단해 재료가 적게 든다

  ⑦ 주심포 건물에 많이 사용

  ⑧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보전, 개심사 대웅전 등

 

 

 

⑵ 우진각지붕 = 모임지붕

  ① 지붕 양옆을 삼각형 모양으로 끌어내려 건물의 네 면에 추녀가 고르게 만들어지는 지붕

  ② 용마루에서 합쳐지는 형태의 지붕

  ③ 용마루 양끝에서 건물 옆면의 양모서리로 각각의 추녀마루를 만들어 용마루와 연속되는 경사진 지붕마루 구성

  ④ 용마루가 짧은 것이 특징

  ⑤ 지붕면 : 곡선

  ⑥ 처마선 : 양쪽 추녀로 갈수록 치켜오르는 곡선

  ⑦ 성문, 누문에 많이 사용

  ⑧ 숭례문, 광화문, 해인사 장경판전 등

 

 

 ⑶ 팔작지붕 = 합각지붕

  ① 날아갈 듯한 화려한 멋이 특징

  ② 용마루, 내림마루,추녀마루를 모두 갖춘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구성미를 지닌 지붕

  ③ 용마루 부분에 박공이 있고 그 아래에는 추녀마루가 부채살 퍼지는 듯한 모양

  ④ 맞배지붕 + 우진각지붕

  ⑤ 건물 규모가 크거나 격식을 차릴때 사용

  ⑥ 궁궐, 사찰 건물 등

 

 

 

 

 ※ 정자 지붕

  ① 모임지붕 : 추녀마루만 있다 

  ② 종류 : 사모지붕, 육모지붕, 팔모지붕

 

 

 

 

2. 재료에 따른 분류

 ⑴ 기와지붕

  ① BC 2-1세기경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

  ② 기와 종류

   ⓐ 수키와(원통형), 암키와(널찍한 곡면) : 가장 기본적인 기와

   ⓑ 막새 : 지붕 추녀끝에 사용되는 기와

   ⓒ 치미 : 용마루 양쪽 끝에 높게 부착한 대형 장식기와

   ⓓ 망새 : 지붕마루 끝에 엎어내는 내림새 모양의 기와

   ⓔ 귀면기와 : 마루 끝에 사악한 것을 물리친다는 의미에서 세운 귀신이 형상으로 장식한 기와

   ⓕ 서까래기와 : 서까래가 끝에 다는 기와

   ⓖ 부연 : 끝에 다는 장식기와

   ⓗ 토수 : 지붕 네 귀의 추녀 끝에 끼우는 장식기와

 ⑵ 초가지붕 :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의 움집에서 시작

 ⑶ 너와지붕, 굴피지붕 : 화전민이나 산간 주민들이 이용

  ① 너와지붕

   ⓐ 큰 나무를 잘라 널빤지를 말들수 있는 곳

   ⓑ 나무판이나 돌판으로 지붕으로 이은 것

   ⓒ '너와'를 만들땐 반드시 도끼질 : 톱은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

 

 

  ② 굴피지붕

   ⓐ 껍질을 벗길 수 있는 곳

   ⓑ 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속껍질을 덮은 것 

 

 

 ※ 선자연 : 겹처마 지붕의 추녀 가까이에 있는 서까래가 추녀를 중심으로 부챗살이 펴진 모양

  ① 홑처마지붕 

   ⓐ 서까래만으로 이루어진 것

   ⓑ 살림집 또는 규모가 작은 건물

  ② 겹처마지붕

   ⓐ 서까래 위에 단면이 네모인 부연을 둔다

   ⓑ 궁궐, 관아, 사찰 등

 

 

3. 지붕 구성   

 ⑴ 지붕마루 : 지붕면과 지붕면이 만나거나 지붕면이 끝나는 부분에 기와를 쌓아 마무리 한 부분

 ⑵ 용마루

  ① 지붕 중앙에 가장 높이 있는 수평마루

  ② 한국 : 가운데가 약간 처진 곡선

  ③ 일본, 중국 : 수평

 ⑶ 내림마루

  ① 맞배지붕에서 지붕의 양쪽 마무리를 깨끗하게 마감하기 위해 생기는 지붕마루

  ② 팔작지붕에서 용마루 양끝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부분

  ③ 우진각지붕, 모임지붕 : 내림마루가 없다

 ⑷ 추녀마루 = 귀마루

  ① 지붕 모서리를 향해 45도 각도로 만들어진 지붕마루

  ② 맞배지붕에는 없다

 ⑸ 박공 = 합각부 : 두 개의 지붕면이 서로 만나 삼각형을 이루는 삼각벽면

 ⑹ 서까래

  ①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 무게를 도리에 전달하는 부재

  ② 도리 위에 지붕의 경사진 방향으로 걸친다

 ⑺ 뺄목

  ① 부재 머리가 다른 부재 구멍이나 홈을 뚫고 내민 부분

  ② 맞배집 : 도리와 장혀가 길쭉하게 빠져 뺄목이 된다

  ③ 다포집 : 네 귀퉁이에서 창방, 평방의 뺄목이 '+'자형으로 짜인다

 ⑻ 처마

  ① 서까래가 도리밖으로 내민 부분

  ② 지붕이 벽보다 밖으로 나온 부분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원  (0) 2018.07.06
대문, 창살, 천장, 바닥  (0) 2018.07.04
가구  (0) 2018.07.01
단청  (0) 2018.06.30
공포(栱包)  (0) 2018.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