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구란?

 ⑴ 목조건축 구조를 이루는 부재의 짜임새를 총칭

 ⑵ 지붕, 벽, 바닥틀 등

 ⑶ 좁은 의미에서 '지붕가구'

  ① 기둥이나 공포 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보, 도리, 대공, 서까래 등의 조합

  ② 지붕 무게를 공포와 기둥에 고루 분산시키면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역할

 

2. 가구의 부재

 ⑴ 보 

  ① 수직으로 놓이는 가장 중요한 것 : 기둥

  ② 수평으로 놓이는 가장 중요한 것 : 보, 한자어로 량(樑)

  ③ 놓이는 위치와 기능에 따라 명칭 부여

   ⓐ 대들보 

   ⓑ 보충보 : 기둥과 보, 보와 보사이, 보 위에 놓이는 보(마룻보, 중종보, 퇴보, 충량, 우미량 등)

  ④ 지붕 모양에 따라 위치가 다르다

   ⓐ 맞배지붕 : 앞뒤 기둥에 걸린다

   ⓑ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 충량이 대들보와 직각이 되도록 걸린다

 ⑵ 대들보 = 누운 기둥 (평주와 평주 연결)

  ① 작은 보에서 전달되는 무게를 받기 위해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보

  ② 지붕을 받치는 가장 큰 보

  ③ 모든 건물에 사용

  ④ 휘어진 나무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자연미를 살린 것이 특징

 ⑶ 우미량

  ① 기둥 사이를 연결하지 않고 위에 있는 도리와 밑에 있는 도리 사이를 연결하는 보

  ② 크기가 작다

  ③ 소꼬리 모양에서 이름 기인

  ④ 팔작지붕, 우진각지붕에선 없다

  ⑤ 고려, 조선초 맞배지붕에서 주로 나타났다

 ⑷ 충량

  ① 바깥머리는 기둥 위에 짜이고 안머리는 대들보 중간에 가로 걸치는 보

  ② 무게를 지탱해 대들보와 평주로 분산시키는 역할

  ③ 우진각지붕에서 주로 볼 수 있다

 ⑸ 마룻보

  ① 대들보 위의 동자기둥 또는 고주에 얹혀 중도리와 마룻대를 받치는 보

  ② '보'중에서 가장 위에 놓인다

 ⑹ 중종보 : 건물 규모가 큰 7량이상의 집에서 대들보와 마룻보 사이에 거는 보 (고주와 고주 연결)

 ⑺ 퇴보 = 홍예보

  ① 모습이 아치형

  ② 고주가 있을 경우나 툇칸이 달릴 경우 사용되는 짧은 보

  ③ '대들보'보다 한 단 낮게 걸친다

 ⑻ 도리

  ① 지붕 서까래를 직접 받치는 부재

  ② 가장 위에 보와 수직방향으로 놓인다

  ③ 단면 형태에 따른 구분

   ⓐ 굴도리 : 둥근 모양으로 양반집에서 사용

   ⓑ 납도리 : 네모 모양으로 일반 민가에서 사용

  ④ 도리수를 통해 3량집, 5량집, 7량집으로 구분

 ⑼ 대공 : 대들보 위에 얹혀 그 위의 보나 도리 등을 받쳐주는 보

 ⑽ 서까래

  ①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 무게를 도리에 전달하는 부재

  ② 도리 위에 지붕의 경사진 방향으로 걸친다

  ③ 지붕형태를 이루고 처마곡선을 형성

  ④ 길이에 따른 구분

   ⓐ 장연 : 중도리에서 처마내밈까지 긴 서까래가 필요한 처마에 사용 

   ⓑ 단연 : 종도리에서 중도리 또는 중종도리에서 중도리까지 짧은 간살 사이에 쓰인다

 

 

3. 가구의 구성

 ⑴ 건축물 규모와 관계가 있다 : 가구가 크고 복잡할 수록 건축물은 웅장하고 위엄이 있어 보인다   

 ⑵ 가구 구성 형식은 '도리'수에 의해 결정 : 3량집, 5량집, 7량집 등 

  ① 건축물을 짓는데 필요한 최소 도리수 3개 : 가구 구성의 기본 단위는 3량집

   ⓐ 앞뒤 기둥 위에 주심도리를 얹고 보 중앙에 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얹어 3개 도리가 서까래를 받치는 구조

   ⓑ 기둥과 기둥 사이가 좁고 보 길이도 짧아 작은 건물이나 민가에서 많이 이용

  ② 일반 한옥에서 많이 사용되는 형식 : 5량집

   ⓐ 서까래를 받을 수 있는 도리 3개 설치

   ⓑ 서까래를 장연과 단연으로 만들어 쓰면 기둥 사이는 넓어진다

  ③ 7량집 = 5량집 + 도리 2개 : 궁궐, 사찰 건물에서 주로 사용

 

 ※ '전', '각', '루'

  ① 전 : 왕과 왕비가 업무를 보거나 생활하는 건물 또는 부처님을 모시는 건물

  ② 각 : '전'과 같은 큰 건물의 부속 건물

  ③ 루 : 2층 건물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문, 창살, 천장, 바닥  (0) 2018.07.04
지붕  (0) 2018.07.03
단청  (0) 2018.06.30
공포(栱包)  (0) 2018.06.28
목조건축 구성요소  (0) 2018.06.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