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포란?
⑴ 우리나라 목조건축의 특징중의 하나
⑵ 주두 위에서 보 방향 부재와 도리 방향 부재가 십자로 교차하여 짜여진다
⑶ 보
① 기둥 앞뒤를 연결하는 부재
② 보 방향 : 보와 같은 방향으로 놓인 부재 (예) 살미
⑷ 도리
① 기둥을 좌우로 연결하는 부재
② 도리 방향 : 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놓인 부재 (예) 첨차
⑸ 최소 삼국시대부터 출현한 것으로 추정
2. 공포 종류
⑴ 주심포
① 기둥위에만 공포가 짜이는 형식
② 지붕 무게가 공포와 기둥을 통해 지면으로 전달되는 구조
③ 벽에는 무게가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④ 창방
ⓐ 기둥사이에 있는 수평부재
ⓑ 기둥과 기둥을 연결
⑤ 건물안 천장 :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
⑥ 전통 목조건축의 가구 형식 중 가장 오래된 형식
ⓐ 기둥 : 배흘림
ⓑ 지붕 : 맞배지붕
⑦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조사당,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등
⑵ 다포
①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놓아 매우 화려한 모습을 가지는 형식
② 지붕무게가 기둥, 벽을 통해 지면에 전달 : 창방(기둥머리를 연결)만으로 방부의 하중을 지탱하기 어렵다
③ 창방이 더 굵어지고 그 위에 평방이라는 수평부재를 하나 더 올려 공포 구성
④ 규격화된 부재를 많이 사용
⑤ 기둥의 배흘림이 심하지 않고 곡선형 부재보다는 직선 부재 많이 사용
⑥ 건물을 장중하게 보이게
⑦ 포작도 여러 층 겹쳐지는 구조
⑧ 천장에 반자 설치 : 우물천장
⑨ 개심사 대웅전, 신륵사 조사당, 봉정사 대웅전 등
⑶ 익공
① 새 날개 모양으로 부재를 기둥머리를 관통시켜 끼우고 그 위에 주두, 두공, 쇠서를 짜서 공포를 꾸미는 형식
② 목조건축의 공포 중 가장 간결한 구조
③ '보'를 '바'로 받치는 구조
ⓐ 견고한 구조
ⓑ 맞배 지붕, 팔작 지붕, 우진작 지붕 모두 가능
④ 주심포, 다포와 같이 '출목'이 있어 지붕 처마를 앞으로 길게 밀어내는 역할도 없고 주심도리를 높게 올리는 역할도 없다
⑤ 외관상 주심포와 유사
⑥ 헛첨차 위치에 놓이는 쇠서, 보아지가 하나의 형태로 기둥과 주두를 감싸고 있어 주두위에 놓이는 쇠서의 하단부와 서로 맞닿게 되는 형태
⑦ 쇠서 수에 따라 구분
ⓐ 초익공 : 익공 1개
ⓑ 이익공 : 익공 2개
ⓒ 물익공 : 익공 수와 상관없이 익공 끝 모양을 둥그랗게 조각
⑧ 외관이 다포계 건물처럼 화려하지 않으나 부재 양이 많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⑨ 종묘 정전, 경복궁 경회루, 해인사 장경판고, 청평사 회전문 등
⑷ 하앙
① 완주 화암사 극락전에서만 보이는 독특한 공포 양식
② 중도리와 주심도리를 잇는 경사진 살미의 일종으로 하앙 부재를 갖는 공포 형식
③ 처마를 많이 빼기 위한 공포의 하나
④ 수평으로 자른 공포 중간을 경사진 부재가 관통하여 짜여진 형식 : 복잡하고 까다로워 사용되지 않았다
3. 공포의 부재
⑴ 교두 : 살미나 첨차의 밑면 끝을 활처럼 깎아 낸 모양 또는 그 부분
⑵ 내목 : 기둥 안쪽
⑶ 두공
① 주두위에 짜이는 공포 부채의 총칭
② 익공형식의 공포에서 도리와 평행하게 주두위에 얹은 첨차
⑷ 부연
① 처마서까래나 들연 끝에 덧붙여 얹는 사각형의 짧은 서까래
② 처마를 위로 올라가게 해서 채공도 좋게 하고 건물을 멋스럽게
⑸ 보아지 : 기둥머리 또는 주두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
⑹ 살미
① 기둥위의 도리 사이를 소의 혀모양으로 꾸민 부재들 통칭
② 남북국시대, 고려 초 : 첨차와 같은 모양
③ 고려 중기 이후 : 장식적으로 변화
⑺ 소로 = 접시받침 : 두공, 첨차, 제공, 장혀 등을 받치는 네모진 나무
⑻ 쇠서 : 기둥위에 도리방향의 첨차와 십자로 짜여지는 부재
⑼ 장혀
① 도리밑에서 도리방향으로 놓이는 폭이 좁고 긴 부재
② 장혀밑에 소로가 받치고 있어 지붕무게가 소로를 통해 첨차에 전달
⑽ 제공 :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인 부재
⑾ 주두
① 기둥 위나 창방, 평방 등 수평으로 놓이는 부재에서 공포를 받아주는 부재
② 공포 가장 밑부분에서 놓여 지붕 무게를 기둥에 직접 전달
③ 주두나 소로의 굽받침의 유무와 굽의 형태를 보면 어느 시대의 건축물인지 알수 있다
- 고구려 : 굽받침이 두껍고 굽이 오목
- 남북국 : 굽받침 없이 오목굽
- 고려 : 오목굽에 굽받침으로 보이는 초각이 있다
- 조선 : 굽받침 없이 굽도 사절 된 형태
⑿ 창방
① 기둥머리와 기둥머리를 연결해 장혀나 소로, 화반을 받는 부재
② 기둥을 서로 잡아매는 역할
⒀ 첨차
① 주두 또는 소로에 얹혀 도리 방향으로 짜여지는 부재
② 살미와 교차하여 십자맞춤
⒁ 출목 : 기둥 중심에서 밖으로 나가 도리를 받친 첨차
⒂ 평방
① 공포를 받치기 위해 창방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은 폭이 넓은 부재
② 다포 건물에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