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문 : 집의 규모, 집주인의 지위와 부(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 솟을대문

 ⑴ 양반집, 서원, 향교의 정문으로 주로 쓰이던 대문

 ⑵ 보통 3칸으로 대문을 만들고 가운데 칸은 담장보다 높게 : 조선시대 종2품 이상 벼슬아치가 타고 다니던 수레인 '초헌'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

 ⑶ 대문에 엄격한 위엄이 표현된 것

 ⑷ 좌우에는 방, 마굿간을 두는게 일반적

 

2. 평대문

 ⑴ 대문의 지붕과 대문 좌우의 담장이 같은 높이로 만들어진 대문

 ⑵ 솟을대문보다 격조가 한단계 낮다

 

3. 사립문

 ⑴ 민가에서 사용하는 대문을 통칭

 ⑵ 싸리나무로 엮은 대문

 ⑶ 대나무, 수숫대 등으로 만든 문도 포함

 ⑷ 1칸

 ⑸ 바잣문 : 사립문을 만들때 발처럼 가로세로로 문양을 넣어가면서 짠 대문

 

 ※ 대문은 집안으로 열리게

  ① 집안으로 복이 들어오기를 바라는 마음

  ② 지나가는 사람에게 방해되지 않기 위해

 

4. 창살

 ⑴ 나무판 또는 '살'을 이용

 ⑵ 띠살, 정자살, 빗살, 아자살, 완자살, 살창 등

 

 

5. 천장

 ⑴ 실내 상부

 ⑵ 연등천장 : 무량수전처럼 보, 도리, 서까래 등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 (예, 살림집 대청)

 

 

 

 

 ⑶ 우물천장 

 가구재가 보이지 않도록 '반자'로 감싼다

  ② 큰 건물에서 우물정(井)자 형태로 틀을 짜고 그 사이에 나무판을 끼운다

 

 

 

 

6. 바닥

 ⑴ 온돌, 마루, 전, 흙으로 구성

 ⑵ 마루

  ① 일반적으로 우물마루

   ⓐ 한옥에서만 나타나는 고유한 마루형식

   ⓑ 기둥과 기둥 사이에 장귀틀을 건너지르고 장귀틀 사이에는 동귀틀을 일정한 간격으로 건너지른 다음 동귀틀 사이를 마루청판을 끼워 마감하는 마루형식

   ⓒ 사계절이 뚜렷하여 건조 수축이 심한 한국적인 기후에 적합한 마루유형

   ⓓ 나무가 건조되어 마루청판 사이가 벌어지면 마루를 다 뜯지 않아도 한 장 한 장 촘촘히 밀어 넣고 마지막장을 한 장 더 보강해 넣으면 되는 효율적인 마루 형식

  ② 건물 규모가 클수록 비중이 높고 중앙을 차지

  ③ 단일 공간으로 가장 넓은 곳

  ④ 녹유 입힌 것 깔았다 → 온돌 (조선후기)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교  (0) 2018.07.06
서원  (0) 2018.07.06
지붕  (0) 2018.07.03
가구  (0) 2018.07.01
단청  (0) 2018.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