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원 : 우리나라의 선현을 배향하고 유생을 가르치던 조선의 대표적인 사학교육기관



1. 기본적인 공간 구성
 ⑴ 제향(祭享)공간과 강학(講學)공간으로 나뉘어 진다 
 ⑵ 두 공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전묘후학, 전학후묘, 좌묘우학, 우묘좌학 등의 형식으로 분류 


2. 전묘후학(前廟後學) 
 ⑴ 제향공간이 전면에 배치
 ⑵ 강학공간이 후면으로 배치
 ⑶ 성균관과 동일한 배치형식
 ⑷ 평지에 위치한 몇 개의 향교에서만 이와 같은 배치형식 

3. 전학후묘(前學後廟) 
 ⑴ 강학공간이 전면에 구성
 ⑵ 후면에 제향공간이 놓이는 것
 ⑶ 대부분의 향교와 모든 서원에서 이러한 배치형식
 ⑷ 교학건축의 전형적인 배치
 ⑸ 강학공간이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따라 세분
  ① 전당후재형(前堂後齋型)  
   ⓐ 강학공간의 중심인 강당 또는 명륜당이 전면에 배치되고 
   ⓑ 동재, 서재가 후면에 배치되는 형식
   ⓒ 제향공간의 확보가 가능 
   ⓓ 시각적으로도 구심성을 갖는 배치 
  ② 전재후당형(前齋後堂型)
   ⓐ 동재, 서재가 강당 또는 명륜당 앞에 배치
   ⓑ 제향공간과의 독립적 성향이 강하다
   ⓒ 강학공간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3. 우묘좌학(右廟左學), 좌묘우학(左廟右學)
 ⑴ 전학후묘 배치 형식에서 파생된 것
 ⑵ 제향공간이 지형적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
 ⑶ 하나의 축이 아닌 별개의 두 축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구별


4. 삼문 = 표문
  외삼문(外三門)  
 ⑵ 서원으로 통하는 정문
 ⑶ 3칸으로 했을 때 삼문 : 내삼문(內三門)과 구분이 없다
 ⑷ 삼문 대신에 누문(樓門)으로 하여 유식공간으로 사용(병산서원) 또는 단칸으로 구성(소수서원)


5. 강당
 ⑴ 서원 내 강학공간의 중심건물
 ⑵ 강론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교수의 거처가 되기도 한다
 ⑶ 서원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마루와 온돌방으로 구성
 ⑷ 전면 5칸 정도로 계획
  ① 가운데 3칸 정도는 마루
  ② 양쪽에 온돌방
  ③ 향교의 명륜당의 건축과 동일


6. 동재(齋), 서재(西齋)
 ⑴ 원생이 기숙하며 공부하는 곳
 ⑵ 대부분 강당 앞에 동재와 서재로 대칭을 이루며 위치
 ⑶ 평면은 온돌방과 마루가 결합되는 형식
 ⑷ 강당에 비해 규모는 작으나 온돌방과 1칸 정도의 대청, 툇마루 등이 어우러져 다양한 평면을 구성


7. 신문(神門)
 ⑴ 사당으로 통하는 제향공간의 정문
 ⑵ 서원의 교육공간인 강당, 제사 일곽과 신성하고 존엄한 공간인 사당을 경계짓는 기능


8. 사당
 ⑴ 선현의 신위를 모신 건물
 ⑵ 배향인은 보통 1인으로 시작하나 후에 선현을 추가로 배향하는 경우가 많았다
 ⑶ 사당에서 가장 중요하게 모시는 한 명을 '주향'이라 하고 나머지 선현은 모두 '배향'


9. 장판고(藏版庫) : 문집이나 서적을 펴내는 곳


10. 서고 : 문집, 서적을 보관
 
11. 교직사(校直舍) : 서원의 관리 및 유생들의 식사준비 등 생활전반을 뒷받침해준다


12. 제기고(祭器庫) : 제사에 필요한 그릇을 보관


13. 일반적인 전체 구조
 ⑴ 택지 
  ① 음양오행설과 풍수지리설에 따라 적당한 위치를 선택
  ② 거의 앞이 낮고 뒤가 높은 구릉지가 많다. 
 ⑵ 남쪽에서부터 정문, 강당, 사당을 일직선상에 두고 그 양쪽에 동재와 서재를 배치
 ⑶ 사당 : 따로 담장을 쌓고 내삼문(內三門)을 만들어 통행하도록 했다. 
 ⑷ 교직사 : 강당 서쪽에 따로 담을 쌓아 배치
 ⑸ 제기고 : 사당 앞 옆쪽에 세운다
 ⑹ 강당: 일반적으로 익공식(翼工式, 새날개 모양)의 단층팔작집
 ⑺ 동재, 서재 : 민도리집 형식인 단층맞배집
 ⑻ 사당 : 익공식 단층맞배집
 ⑼ 담장을 높지 않게 세우고 그 일부를 터서 내부에서 밖의 자연과 접할 수 있도록 했고 여기에 조경식물도 심어 자연과의 조화를 꾀했다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곽 종류 : 도성  (0) 2018.07.09
향교  (0) 2018.07.06
대문, 창살, 천장, 바닥  (0) 2018.07.04
지붕  (0) 2018.07.03
가구  (0) 2018.07.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