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칭

 ⑴ ‘동방’과 ‘광명’이라는 뜻

 ⑵ 땅이 동쪽에 있어 해뜨는 곳, 또는 아침의 나라

 ⑶ 옛 조선(고조선)을 계승


2. 건국

 ⑴ 14세기 후반 고려

  ① 권문세족이 발호하는 가운데 정치기강이 흐트러지고 사회적으로 갈등이 심화

  ②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이 계속되는 등 혼란

  ③ 신진세력 : 안으로 내적 모순을 완화하고 밖으로 국가 역량을 키우기 위해 새 왕조의 건설을 추구

 ⑵ 이성계

  ① 함경도 출신의 무장

  ② 홍건적과 왜구를 물리쳐 명성을 드높이며 중앙정계에 진출

  ③ 신진사대부 : 이성계를 지도자로 내세우고 새로운 사회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

  ④ 1388년, 위화도 회군 단행

  ⑤ 구세력의 우두머리인 최영(崔瑩) 일파를 제거

  ⑥ 전제개혁을 통해 새 왕조의 경제적 기반 마련

  ⑦ 1392년 7월, 공양왕에게 선양의 형식으로 왕위를 이어받음

  ⑧ 민심의 동요를 생각 국호를 ‘고려’, 도읍을 ‘개경’(開京) → 국호를 조선, 도읍을 한양

 ⑶ 3대 건국 이념

  ① 사대교린주의(事大交鄰主義)

   ⓐ 명 : 종주국(宗主國) 대접을 해서 사신 왕래를 통해 경제적 문호적 실리를 취한다.

   ⓑ 일본과 여진(주변 약소국) : 교린을 내세워 우호적인 교류로 평화를 유지

  ② 숭유배불주의(崇儒排佛主義)

   ⓐ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정치 문화 사상의 지도적 이념으로

   ⓑ 정치 사회 질서를 유교적인 체제로 전환

  ③ 농본민생주의(農本民生主義)

   ⓐ 농업을 적극 장려해서 국민생활을 안정시키려고 노력

   ⓑ 적극적인 권농정책 : 농토가 크게 확장

   ⓒ 영농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 : 농업생산력이 증대

   ⓓ 벼농사가 널리 보급


3. 정치 확립기 : 태조(1392~1398 재위)~성종(1469~1494 재위)

 ⑴ 국호를 정하고 도읍을 옮겼으며 새로운 정치이념을 내세우고 문물제도를 정비

 ⑵ 개국공신들이 실권을 장악하고 제도를 새로 마련

  ① 조준 : 전제개혁을 주관하여 새 왕조의 재정기반을 확보

  ② 정도전 : 󰡔조선경국전󰡕(朝鮮徑國典)을 편찬, 통치이념을 체계적으로 제시

 ⑶ 이방원(태조의 다섯째 아들) : 태종 즉위

  ① 2차례 왕자의 난

  ② 정도전 등 제거

  ③ 관제 개편 : 관료 제도 정비

  ④ 국가 재정 기반 강화

   ⓐ 양전(量田) 실시 : 토지를 정확히 파악

   ⓑ 사원 경제에 대한 개혁 단행

  ⑤ 신분 호적 제도 개혁 : 양인의 수를 늘리고 이를 토대로 국역(國役)의 기반 확대

  ⑥ 사병(私兵) 혁파, 신문고 설치, 사섬서(司贍署) 설치, 활자 개량, 호패법 시행 등

 ⑷ 세종

  ① 정치안정을 위해 황희, 맹사성 같은 노련한 재상을 기용

  ② 집현전을 학술기관으로 확장

   ⓐ 학자(성삼문, 신숙주 등)에게 문물제도를 연구하게 하여 새로운 정책 방향을 모색

   ⓑ 한글 창제

  ③ 조세, 형벌, 의료 제도 개선

  ④ 의창(義倉) 설치 : 빈민 구제

  ⑤ 측우기를 비롯한 각종 과학기구 발명

  ⑥ 궁중음악을 아악(雅樂)으로 정리

  ⑦ 활자개량에 힘써 많은 서적을 편찬

  ⑧ 국토 확장

   ⓐ 김종서 6진 설치 : 회령, 부령, 온성, 종성, 경원, 경흥

   ⓑ 최윤덕 4군 설치 : 여연, 자성, 무창, 우예

   ⓒ 왜구의 본거지인 쓰시마 섬(대마도, 對馬島) 정벌 : 통상을 요구하는 왜구에게 부산포, 내이포, 염포의 3포를 열어 제한된 무역 시행

 ⑸ 세조

  ① 한명회, 권람 등과 함께 무력으로 왕위에 즉위

  ② 단종의 복위를 꾀하는 사육신(死六臣) 등을 제거

  ③ 동북지방에서 일어난 2차례의 반란 진압 : 왕권 강화

  ④ 부국강병책을 강력히 추진

  ⑤ 직전법 실시 : 국가 수입 증대

  ⑥ 체계적이고 집권적인 법전 마련 :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에 착수

  ⑦ 배불정책 완화

   ⓐ 한양에 원각사 건조

   ⓑ 간경도감 설치 : 불경 간행

  ※ 사육신(死六臣) : 성삼문(成三問), 하위지(河緯地), 이개(李塏), 유성원(柳誠源), 박팽년(朴彭年), 유응부(柳應孚)

  ※ 생육신(生六臣) : 김시습(金時習), 원호(元昊), 이맹전(李孟專), 조려(趙旅), 성담수(成聃壽), 남효온(南孝溫)

 ⑹ 성종

  ① 문물 제도 완성

  ② 유학 장려 : 홍문관, 독서당 등 유학연구시설 설치

  ③ 동국통감을 비롯한 여러 서적을 편찬

  ④ 경국대전완성 : 국가 제도 정비

  ⑤ 농업 장려 : 민생의 안정을 도모

  ⑥ 김종직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방의 사림을 기용

   ⓐ 훈구세력의 비대화를 견제 : 양대 세력의 균형과 조화 위에 왕권 강화를 시도

   ⓑ 왕권 안정을 도모


4. 정치 변질기 : 연산군(1494~1506 재위)~선조(1567~1608 재위)

 ⑴ 훈구세력(勳舊勢力)과 사림세력(士林勢力)의 대립

  ① 15세기의 조선 : 왕조 창건과 제도정비에 힘쓴 훈구세력이 지배

  ② 15세기말부터 지방의 사림들이 중앙정계에 진출 : 훈구세력과 권력, 이념 등에서 갈등

 ⑵ 연산군

  ① 훈구세력과 사림세력 대립이 표면화

  ② 양쪽 세력 모두 배척

   ⓐ 양쪽을 모두 배척 : 왕권의 전제화 시도

   ⓑ 무오사화(戊午士禍), 갑자사화(甲子士禍)

  ③ 중종반정(中宗反正, 1506)으로 축출 : 중종 즉위

 ⑶ 중종

  ① 조광조(趙光祖)

   ⓐ 도학정치(道學政治) 추진 : 무너진 유교정치를 일으키려고 시도

   ⓑ 현량과 실시 : 사림세력의 진출을 용이하게

   ⓒ 향약(鄕約)을 전국적으로 실시 : 성리학적 윤리와 향촌자치제를 강화

  ② 기묘사화(己卯士禍)

   ⓐ 조광조 정책 : 사림의 정치 사회적 지위를 높여주었고 백성의 여망에 어느 정도 부합

   ⓑ 개혁 방향 : 너무 급진적이고 과격

   ⓒ 반대파의 공세 : 조광조 등은 정계에서 축출

 ⑷ 붕당정치(朋黨政治)

  ① 사림

   ⓐ 몇 차례에 걸친 사화로 큰 타격을 입고 향촌으로 물러났다.

   ⓑ 16세기 중엽 이래 서원과 향약을 바탕으로 향촌에 깊이 뿌리내려 세력을 확장

   ⓒ 명종 때에는 조정의 실권을 장악

  ② 정권을 잡은 후 사림들 사이에서 다시 정권다툼이 발생 : 붕당정치

  ③ 선조 : 동인과 서인의 분파에서 시작

  ④ 지배층이 대립할 때마다 옥사(獄死) 발생

  ⑤ 정권이 자주 바뀌면서 왕권 약화


5. 정치 정비기 : 광해군(1608~1623 재위)~숙종(1674~1720 재위)

 ⑴ 광해군 : 정인홍 등 대북파의 지지를 받아 즉위

  ① 내정과 외교에서 혁신적인 정치 추진

  ② 임진왜란의 후유증을 수습을 시도

   ⓐ 일부 사림을 축출  

   ⓑ 종친 등의 정적을 대거 숙청

   ⓒ 강력한 왕권 구축

  ③ 산업과 재정기반을 재건 : 양전사업, 호적사업 실시

  ④ 국방 강화

   ⓐ 성곽과 무기 수리

   ⓑ 군사훈련 강화

  ⑤ 허준 : 동의보감(東醫寶鑑) 편찬

  ⑥ 명과 여진족(후금, 後金)사이에서 실리적이고 탄력성 있는 중립적인 외교 추구

  ⑦ 축출

   ⓐ 실리적이고 혁신적인 정치 : 명분을 중요시하는 사림에게는 못마땅한 것, 크게 반발

   ⓑ 영창대군 살해

   ⓒ 인목대비 폐위

   ⓓ 사림 지지를 기반으로 하는 서인에 의해 축출

 ⑵ 인조

  ① 서인정권 : 중화사상에 의거한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 추진

  ② 정묘호란(丁卯胡亂) : 1627년, 후금이 조선 침입

  ③ 병자호란(丙子胡亂)

   ⓐ 나라 이름을 청(淸)으로 고친 뒤 무례한 사대관계 요구

   ⓑ 1636년 침입

   ⓒ 남한산성에서 45일간 버텼으나 결국 청과 화의 : 명과의 국교 단절

 ⑶ 효종

  ① 북벌에 강한 의지를 표방

  ② 북벌정책에 협력하는 송시열 등 서인계 사림을 중용 : 군비증강

 ⑷ 현종, 숙종

  ① 증대된 예송논쟁(禮訟論爭)과 세자책봉 문제때문에 큰 정치적 갈등 야기

                 ↓

효종과 효종비에 대한 자의대비(慈懿大妃 : 인조의 계비(繼妃)인 조씨(趙氏))의 복상기간(服喪期間)을 둘러싸고 현종과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 간의 논쟁

  ② 당쟁 격화 : 정계 혼란

  ③ 전후 복구를 위한 시책도 미봉적

 ⑸ 농촌 사회 복구와 국가 재정 보완을 위한 개혁

  ① 근본적이지는 못했으나 구체화

  ② 토지제도 정비와 양전사업 시행

  ③ 공법(貢法)대신 수취체제 정비

   ⓐ 인조 : 영정법(永定法)

   ⓑ 효종 : 양척동일법(量尺同一法)

  ④ 대동법(大同法) 실시 : 공납을 쌀로

   ⓐ 선조 :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

   ⓑ 인조 : 강원도

   ⓒ 효종 : 충청도, 전라도

   ⓓ 숙종 : 전국적으로 실시

  ⑤ 농업기술이 진전

  ⑥ 상공업이 활성화

  ⑦ 화폐제도 개혁

   ⓐ 인조, 효종 :부분적으로 동전 사용

   ⓑ 숙종 : 상평통보(常平通寶)가 대표적인 금속화폐로 인정, 전국적으로 사용


6. 정치 안정기 : 영조(1724~1776 재위)~정조(1776~1800 재위)

 ⑴ 영조

  ① 탕평책(蕩平策) 실시

   ⓐ 여러 당파의 인물을 골고루 등용

   ⓑ 관료세력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

  ② 소수 관인들이 장악한 군사권을 왕권에 귀속

  ③ 붕당의 본거지인 일부 서원을 철폐

  ④ 속대전(續大典), 속오례의(續五禮儀) 등 편찬 : 문물 재정비

  ⑤ 균역법(均役法) 실시 : 군포징수의 불합리함을 시정

  ⑥ 민심의 동태를 파악하려고 신문고 제도 부활

 ⑵ 정조

  ① 영조의 왕권강화정책을 계승 발전시켜 탕평책을 계속 시행

  ② 규장각 설치

   ⓐ 정약용 등 새로운 인재 등용

   ⓑ 학술활동을 진흥

 ⑶ 영조 정조의 개혁정책 결과

  ① 왕권이 크게 신장

  ② 관료체제가 안정화

  ③ 민생이 안정화

  ④ 서민의 문화의식이 고양 : 민족문화의 저변이 확대

   ⓐ 춘향전(春香傳)과 같은 판소리 유행

   ⓑ 서당교육과 민화가 널리 유포

  ⑤ 장시(場市)

   ⓐ 교역지(交易地)

   ⓑ 정보를 교환하는 장소

  ⑥ 실학 : 서민의 의식을 깨우침


7. 정치 침체기 : 순조(1800~1834 재위)~철종(1849~1863 재위)

 ⑴ 19세기, 조선 : 외척의 세도정치(勢道政治)로 불안정

  ① 어린 순조를 대신하여 장인인 김조순이 정권을 잡으면서부터

  ② 헌종 : 조인영이 집권하면서 풍양조씨의 세도정치

  ③ 철종 :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⑵ 60여 년에 걸친 세도정치 결과

  ① 왕권 약화

  ② 부정부패 만연

   ⓐ 매관매직(賣官賣職)

   ⓑ 뇌물공여(賂物供與)

  ③ 탐관오리의 착취와 횡령으로 국민생활은 도탄

  ④ 전정(田政), 군정(軍政), 환정(還政) 즉 삼정(三政)의 질서가 극도로 문란

   ⓐ 국가 재정 : 파탄

   ⓑ 농민 : 생활 파탄, 이런 분위기 속에서 농민들의 불만은 점차 높아져 조정을 비난

  ⑤ 민란(民亂) 발생 : 1811년, 평안도 지방에서 일어난 농민전쟁(홍경래의 난)


8. 정치 격동기 : 고종(1863~1907 재위)~순종(1907~1910 재위)

 ⑴ 19세기 중엽, 조선

  ① 안으로는 부패하고 무능한 양반층에 대항하여 농민세력이 성장

  ② 밖으로는 일본과 서구열강의 침략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

 ⑵ 흥선대원군

  ① 전제왕권의 재확립을 위한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

   ⓐ 안동김씨(세도정치 장본인) 축출

   ⓑ 당파, 신분, 지방의 구별없이 실력 위주로 인재 등용

   ⓒ 비변사 폐지, 의정부 기능 회복 : 왕권 강화

   ⓓ『대전회통』(大典會通), 『육전조례』(六典條例) 간행 : 법치질서 정비

   ⓔ 탐관오리를 엄하게 징벌하고 사치를 엄금 : 농민생활 안정

   ⓕ 호포제(戶布制) 실시 : 농민만 부담하던 군포를 양반에게도 부담

   ⓖ 당쟁의 온상이며 국가 재정에 악영향을 준다고 판단된 서원을 대폭 정리

   ⓗ 경복궁 중건 : 위축된 왕권과 국가의 위상 향상

  ② 개항을 요구하는 열강의 접근에 통상수교거부정책으로 대항

   ⓐ 천주교 탄압

   ⓑ 병인양요(丙寅洋擾), 신미양요(辛未洋擾)

  → 명성왕후 민씨와 유림세력에 의해 조정에서 축출

 ⑶ 1876년, 강화도 조약 : 운요오호 사건을 계기로 일본과 체결 - 문호 개방

 ⑷ 1882년 임오군란, 1884년 갑신정변

 ⑸ 1894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① 제폭구민(除暴救民), 보국안민(輔國安民), 척양척왜(斥洋斥倭)

  ② 일본이 진압 : 갑오개혁(甲午改革)이 단행

 ⑹ 배일친러정책 : 일본의 명성황후 시해 → 배일운동(排日運動) → 항일의병(抗日義兵)

 ⑺ 친러파

  ① 아관파천(俄館播遷) 단행

  ② 왕이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면서 자주권이 크게 상실

  ③ 광산채굴권, 철도부설권, 삼림벌채권 등 이권을 열강에게 빼앗김

 ⑻ 1896년, 독립협회

  ① 서재필 등

  ② 자주 자강 자유 민권의 민족운동

  ③ 독립문 축조

  ④ 독립신문 발간

  ⑤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개최 : 근대화운동 전개

 ⑼ 고종

  ① 러시아 공사관에서 환궁 :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光武)

  ② 1897년 8월, 황제로 즉위

  ③ 대한제국

   ⓐ 관제 개혁

   ⓑ 산업 부흥

   ⓒ 학교 설립 : 교육 진흥

   ⓓ 외세에 의존한 고종과 보수 집권층때문에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서 흥정의 대상

  ④ 1904년, 러일전쟁 : 일본 승리

  ⑤ 1904년, 한일의정서

   ⓐ 군사요지를 마음대로 점령

   ⓑ 교통통신망 장악

   ⓒ 고문정치 실시

  ⑥ 1905년, 을사늑약

   ⓐ 외교권 박탈

   ⓑ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 초대 통감으로 부임, 보호정치 실시

  ⑦ 1907년, 헤이그 밀사사건 : 일본에 의한 고종의 강제 퇴위

 ⑽ 순종

  ① 1907년, 한일신협약 : 조정의 각 부에 일본인 차관이 주재하는 차관정치 강행

  ②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탄 : 조선의 국권을 강탈

'우리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0) 2018.01.22
조선왕조 역대 王들의 사망 원인과 수명  (0) 2018.01.22
고려부흥운동 왜 없었나?  (0) 2018.01.22
신돈  (0) 2018.01.19
공민왕의 가족  (0) 2018.0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