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학사상의 대두 : 사회경제적 크게 변화한 현실을 성리학이 반영하지 못하게 되자 현실을 비판하고 개혁방안을 추구한 실학이 나타남
 ① 경세치용학파 : 토지제도와 행정기구 등 제도개혁에 관심을 가진 실학파
  ㄱ. 유형원 - 실학의 체계화, <반계수록>
   * <반계수록>에는 정전제 정신을 살려 농민들이 토지를 균등하게 점유하게 하자는 균전제를 주장
  ㄴ. 이익 - 사회현실에 대한 개혁안 제시, <성호사설> <곽우록>
   * <곽우록>에는 토지소유의 상한선을 정하여 겸병을 방지하자는 한전론을 주장
  ㄷ. 정약용 -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 여전제와 정전제 주장,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 다산초당(전남 강진) - 정약용이 유배되어 살던 곳으로 중요한 저서 저술
   * 정약용의 여전제 - 토지개혁으로서 공동농장제 형태를 주장
  ㄹ. 실학자들의 토지개혁론은 실현될 수 있는 주장이라기보다는 민중에게 지주제의 모순과 부당함을 선전
 ② 이용후생학파
  ㄱ. 근본사상 - 청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 조선의 현실 개혁을 위해 청 문화 도입 강조, 노동하지 않는 양반유학자를 비판,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혁신에 대해 높이 평가
  ㄴ. 홍대용의 <의산문답>, 박제가의 <북학의>, 박지원의 <열하일기>, 유득공 등이 대표

 

2) 국학의 발전 : 사회 현실에 대한 실학자들의 관심과 비판의식은 역사, 지리, 언어, 풍속, 자연환경 등의 학문 발전에 기여

 

3) 서학의 전래 : 중국에 전래된 천주교는 17세기 북경을 왕래하는 사신들에 의해 소개되었는데 실학자들이 깊은 관심을 보여 이수광의 <지봉유서>,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가 소개되었다. 천주교는 유교윤리뿐만 아니라 유교의례를 거부가 문제되어 1801년 신유사옥이 일어나면서 주문모를 비롯한 100여명의 교도 처형되고 400명이 유배

 

4) 서민문화와 민간신앙 : 봉건사회에 대한 민중의 비판의식은 문화활동을 통해 민중 내부에서 급속히 공감대를 형성
 ① 한글소설의 발달 : 봉건적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민중의 바람을 표현
  * 춘향전, 토끼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등
 ② 서민들의 친근한 예술형태인 노래, 굿, 놀이 등은 서로 어우러져 탈춤, 인형극, 판소리 등으로 발전
  * 봉산 탈춤이 한 예이다.
 ③ 진경산수화와 풍속화 유행
  ㄱ. 진경산수화 - 우리의 풍경과 사물을 사실적으로 생생하게 표현
   * 정선의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김홍도의 <총석정도> 등
  ㄴ. 풍속화 - 풍자를 통한 유교적 양반사회의 비판 표현
   * 김홍도는 농촌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주로 표현하였고 신윤복은 도회지 양반과 부녀자의 풍습을 주로 표현
 ④ 민간신앙으로서 <정감록>의 예언사상, 미륵신앙 등이 널리 퍼짐
  * 영향 - 새세상의 도래를 위한 민중의 저항의식 고양과 사회적 모순에 대한 민중의 과학적, 합리적인 대체에 걸림돌이 되기도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