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의민족(白衣民族)

 ⑴ 흰옷을 즐겨 입고 흰색을 숭상하는 오랜 전통에서 유래하여 한민족을 이르는 별칭(別稱)

 ⑵ 흰색을 순결과 평화로움을 상징하는 색으로 생각

 ⑶ 『삼국지』「위지동이전」"부여(기원전 59- 기원후 494) 사람들은 희색을 숭상하여 흰옷을 널리 입었다"

 ⑷ 독일 상인 에른스트 오페르트(Ernest Oppert) 『금단의 나라 조선 기행』(Ein Verschlosenes land : Reisen nach Korea) (1886) "남자나 여자나 옷 빛깔이 모두 희다"

 

2. 흰옷을 유난히 즐겨 입었던 이유에 대한 몇가지 주장

 ⑴ 밝고 깨끗하고 우아한 것을 좋아하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의복 생활에 반영

 ⑵ 상복(喪服)의 영향 

 ⑶ 유채색 옷을 입지 못하게 한 국가의 금령(禁令)으로 인해 백성들의 불가피한 선택

 ⑷ 물감이 희귀하고 염료가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

 

3. 흰옷(백의, 白衣)

 ⑴ 계층에 상관없이 한민족 전체의 사랑을 받은 옷 

 ⑵ 사시사철 일할 때나 외출할 때 흰옷을 입었던 것은 일반 백성

 ⑶ 벼슬을 하지 않는 사람을 상징 → 백의종군(白衣從軍) : 벼슬없이 군대에 복무하다 보니 직책에 맞는 옷이 없어 일반 백성이 입는 흰옷을 입었다는 의미

 

4. 흰옷 금지령

 ⑴ 고려 말 충렬왕(재위 1275-1308) "오행사상으로 고려는 동(東)이므로 목(木)이 되고, 목은 청(靑)이니 흰옷을 입지 말고 푸른 옷(청의, 靑衣)을 입으라'

 ⑵ 조선 태조, 세조, 연산군, 인조, 현종 : 푸른 옷을 권장

 ⑶ 조선 숙종 : 푸른 옷 착용을 국령(國令)으로

 ⑷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 : 흰옷은 노골적인 탄압 대상 

  ① 조선인들이 가난했던 까닭은 흰옷 착용 때문

  ② 흰옷은 경제적 시간적으로 낭비

  ③ 흰옷은 빨리 더러워지므로 돈이 들고 세탁하는 데도 시간이 든다

  ④ 백의민족이라는 민족주의 관념을 말살하려는 정책

   ⓐ 반발심을 불러 일으켜 '흰옷'에 저항 정신이 덧입혀졌다 

   ⓑ 의병은 모두 흰옷 착용

   ⓒ 3.1운동때도 흰옷을 입은 무리가 전국을 휩쓸었다

   ⓓ 일제 침략이 오히려 흰옷을 더욱 고수하게끔 한 것

  ⑤ 흰옷은 권력자에 대한 저항과 외세 침략에 맞서는 민중의 잠재된 큰 힘을 상징 

 

5. 광복 직후 미군 주둔과 전쟁으로 백의 전통 무너지기 시작

 ⑴ 카키색 군복 문화

 ⑵ 양복, 양장

 ⑶ 상복이 흰색 → 검은색 양복

 

 ※ 서양에서도 흰색은 순수, 순결, 희망을 상징하는 최고의 색, 즉 신(神)의 색이어서 세계인 모두가 좋아하는 색이었으나 '백의민족'이라는 별칭을 가진 민족은 우리나라가 유일

 

 ※ 흰옷만 좋아한 것이 아니라 예부터 흰색으로 된 것을 사랑 : 『세종실록』왕이 쓰는 그릇으로 백자를 전용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고리  (0) 2023.06.04
치마  (0) 2023.06.04
수저 (숟가락, 젓가락)  (0) 2023.06.04
사발  (0) 2023.06.04
엄마 손맛  (0)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