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을 얻어 죽은 경대승(慶大升, 1154~1183) : 태몽(胎夢)과 죽음 예지
가을 7월에 장군 경대승이 졸하였다.……어느 날 밤에, 홀연히 정중부(鄭仲夫)가 칼을 잡고 큰 소리로 꾸짖는 꿈을 꾸고서 병을 얻어 죽었는데, 향년 30세였다. - 고려사절요
(풀이) 경대승은 무인(武人)의 불법적인 행동에 화나 무신의 난 이전 상태로 돌아가고자 했다. 정중부(鄭仲夫)의 사위인 송유인(宋有仁)이 문극겸(文克謙)과 한문준(韓文俊)을 탄핵하자 이를 계기로 무인 집권자들을 제거하기로 결심하였다. 1179년(명종 9년)에 허승(許升) 등과 함께 정중부와 그의 아들, 송유인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였다. 집권 5년만에 병사(病死)
'꿈으로 본 우리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덕생(金德生)의 영령이 나타나다 (0) | 2018.05.17 |
---|---|
임춘(林椿)의 묘지명을 청탁받은 이규보(李奎報) (0) | 2018.05.17 |
자신의 죽음을 예지한 이인로(李仁老, 1152~1220, 고려 학자) (0) | 2018.05.17 |
등창으로 죽은 신라 45대 신무왕(神武王) (0) | 2018.05.16 |
선죽교의 비운을 품고 태어난 정몽주(鄭夢周, 1337~1392, 고려 후기 문신) (0) | 2018.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