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릴라전에 능숙한 중공군 출신 지휘관들, 전차전 특유의 기동력과 파괴력 전혀 못살려


1. 소련이 제공한 T34/85형

 ⑴ 2차대전 당시 스탈린그라드와 쿠르스크에서 독일 기갑군단을 격파한 막강한 전차

 ⑵ 대구경 85㎜ 주포를 탑재

 ⑶ 철갑 두께 : 75㎜ ~ 110㎜로 개량

 ⑷ 탑승병 5명

 ⑸ 최대 시속 53㎞

 ⑹ 작전 반경 400㎞


2. 1949년 1월 평양에 도착한 소련군 사절단 40명

 ⑴ 대부분 기갑 전문가

 ⑵ 북한에 기갑부대를 창설

 ⑶ 전차 제공

 ⑷ 전차대원을 소련으로 데려가 훈련


3. 국군

 ⑴ 전차는 한 대도 없었음

 ⑵ 정찰과 병력 수송용 장갑차 37대

  ① M8형 그레이하운드 27대

  ② M3형 반궤도 장갑차 12대


4. 북한군

 ⑴ 남침 작전계획인 ‘선제타격계획’ : 2차대전 소련의 영웅 바실리에프 원수가 작성한 것

 ⑵ 180대의 각종 항공기와 T34 전차 242대, SU 자주포 176대를 지원받음

 ⑶ 105 전차여단 작전장교였다가 귀순한 오귀환의 증언 : “쇠몽둥이로 솜뭉치를 뚫는 것 같았다”


5. 올바른 작전이라면...

 ⑴ 38선에서 서울까지의 최단거리는 불과 48㎞

 ⑵ 북한군 T34 전차의 최대 속력은 시속 53㎞

 ⑶ 전차전의 특성을 꿰뚫어 본 지휘관이 있었다면

  ① 전차부대를 보병과 분리

  ② 고속으로 돌격, 전진

  ③ 국군 지휘부 강타

  ④ 지휘통신기능을 와해시키는 작전을 구사


6. 북한군의 전략

 ⑴ 전차를 활용한 기동전이 아니라 보병부대를 앞세워 공격

 ⑵ 전차

  ① 보병부대의 후위에 배치

  ② 보병부대의 진격 속도에 맞춰 서울로 들어옴


7. 전차전 전략 실패 이유

 ⑴ 소련으로부터 전차는 받았지만 전차전의 특성 자체를 모름

 ⑵ 전투부대를 지휘한 주요 지휘관 : 팔로군 출신

  ① 익숙한 보병 위주의 게릴라식 전투 시도

  ② 보병전투의 보조수단으로만 사용 : 전차의 위력을 전혀 발휘하지 못했다

 ⑶ 남침 초기 ‘측방 기동에 의한 후방 차단 작전’을 구사

  ① 전차부대와 이를 따르는 보병이 전면을 공격

  ② 양쪽 날개로 보병이나 차량화 보병을 우회시켜 포위한 다음 적을 섬멸하는 작전

  ③ 단점 : 효과는 확실하나 시간이 많이 걸림 – 전차 전진 속도를 보병 속도에 맞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