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제의 무단통치와 식민지체제

 ⑴ 통치조직의 개편

  ①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무단정치 실시

  ② 조선총독부 설치(1910. 10)하여 식민지 통치기구 정비

   ⓐ 초대총독 : 데라우치 마사타게

   ⓑ 총독의 지위 : 입법, 사법, 행정, 군권마저 한 손에 거머쥔 식민통치의 최고실력자

  ③ 조선총독부의 직속 자문기관으로 중추원이 세워지고 ‘조선총독부 지방관 관제령’을 공포하여 지방통치기구도 정비

 ⑵ 헌병경찰제

  ① 군대의 경찰인 헌병이 경찰을 지휘하면서 경찰업무까지 관여하는 제도 

  ② 식민지배에 대한 조선민중의 저항을 무력으로 탄압하기 위한 것으로 일제가 채택한 전례가 없는 야만적인 통치수단

 ⑶ 식민지 동화정책

  ① 무단통치와 더불어 식민지 노예교육과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의 선전을 강화

  ② 「대한매일신보」「황성신문」「대한신지지」「유년필독」「을지문덕전」과 같은 민족적 자각을 일깨우는 출판물 발행 금지

  ③ 「매일신보」「경성일보」같은 관제 어용신문을 발행해 일제의 식민지배 미화

  ④ ‘조선교육령’을 공포(1911) - 천황에게 충량한 신민 양성, 일본 국민다운 품성 함양

  ⑤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선전 강화 : 「조선반도사」「조선사」발간

   ※ 「조선반도사」는 우리민족에 대해 자주성이 없는 민족, 문화의 독창성이 없는 민족, 당파성이 강한 민족이라고 왜곡


2. 수탈을 위한 토지조사와 농민층의 몰락

 ⑴ 토지조사사업

  ① 1912년 ‘토지조사령’을 공포하고 본격적으로 토지조사사업 나섬

  ② 식민지지주제를 강화하여 조선을 일제의 식량과 원료공급지로 만드는데 목적

  ③ 결과적으로 일본인, 조선인 지주의 성장을 가져왔고 조선농민의 몰락, 이농을 가져옴

 ⑵ 회사령과 민족자본의 몰락

  ① 1910년 12월에 ‘회사령’을 공포하여 조선의 상공업을 철저히 억제

  ② 회사령에 따라 조선에서 회사를 세우거나 운영하는데 총독이 절대적인 권한을 가졌고 조선인 자본은 제약을 받고 일본자본은 진출이 용이해져 조선경제는 일본경제에 예속되어 감

  ③ ‘삼림령’ ‘조선어업령’의 공포(1911)와 광산개발권의 약탈(1913)등 각종 경제자원 독점으로 조선을 식민지 수탈체제로 재편

 ⑶ 농민층의 몰락과 이농(移農) : 토지조사사업과 회사령으로 농민과 상공업자들은 고향을 등지거나 공장 노동자로 전락


3. 무단통치하의 민족운동

 ⑴ 나라안의 비밀결사운동

  ① 대한독립의군부, 대한광복회, 송죽형제회, 기성단, 자립단 등은 1915년경까지 항일운동을 이어 나감

  ② ‘비밀’이라는 조직의 특성 때문에 대중과 함께 독립운동을 꾀하는데 한계를 들러냄

 ⑵ 민중들의 생존권 투쟁과 항일운동 : 무단통치 아래 일제의 수탈에 저항한 노동자, 농민 등 민중의 투쟁은 주로 생존권을 지키려는 경제투쟁에 머물렸고 민중의 생존권은 일제 침략에 반대한 민족적 성격을 띰

 ⑶ 나라 밖에서의 독립운동

  ① 독립군기지 건설운동은 병합 직전 서간도로 건너간 신민회 회원들이 주측이 되어 시작

  ② 상해, 러시아의 연해주, 미주, 멕시코 등지에도 독립운동 전개

  ③ 망명한 민족운동가의 독립 이념과 방법을 두고 1910년 중반 이후 상당한 시련을 겪음


4. 1919년 3・1운동

 ⑴ 3・1운동 전야

  ① 1917년 러시아혁명과 1918년 월슨의 ‘민족자격주의’에 영향에 촉진된 측면도 있지만 그동안 무단통치 하에서 억눌려 온 민족의 반일감정이 폭발한 것

  ② 2・8 독립선언 : 동경에서 대한독립선언서 낭독

  ③ 각종 종교단체와 학생대표들의 대내적인 만세시위 계획 마련

 ⑵ 3・1운동의 시작 : 민족대표들의 소극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운동의 주도세력은 초기에는 청년과 학생

 ⑶ 도시에서 농촌으로, 만세시위의 확대

  ① 서울 시위에 참여했던 학생과 고종 국장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시위를 선동하고 조직하여 전국으로 확산

  ② 만세시위는 3・4월간 계속되었는데 처음에는 비폭력을 주장하였으나 점차 조직적이고 과격한 폭력적 인 양상을 띰

 ⑷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①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속에서 수많은 희생이 뒤따르면서 좌절

  ② 세계에 우리 민족의 독립의식을 일깨운 위대한 민족해방운동이며 1차 세계대전 뒤 전승국 식민지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피압박민족의 해방운동의 선구가 됨

  ③ 일제의 야만적인 무단통치 후퇴,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민족의 저력 확인

  ④ 상해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민족해방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

   ※ 3・1운동 성격 : 반제국주의 운동, 항일민족운동, 비폭력 시위운동, 민족독립운동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