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제의 무단통치와 식민지체제
⑴ 통치조직의 개편
①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을 강제로 체결하고 무단정치 실시
② 조선총독부 설치(1910. 10)하여 식민지 통치기구 정비
ⓐ 초대총독 : 데라우치 마사타게
ⓑ 총독의 지위 : 입법, 사법, 행정, 군권마저 한 손에 거머쥔 식민통치의 최고실력자
③ 조선총독부의 직속 자문기관으로 중추원이 세워지고 ‘조선총독부 지방관 관제령’을 공포하여 지방통치기구도 정비
⑵ 헌병경찰제
① 군대의 경찰인 헌병이 경찰을 지휘하면서 경찰업무까지 관여하는 제도
② 식민지배에 대한 조선민중의 저항을 무력으로 탄압하기 위한 것으로 일제가 채택한 전례가 없는 야만적인 통치수단
⑶ 식민지 동화정책
① 무단통치와 더불어 식민지 노예교육과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의 선전을 강화
② 「대한매일신보」「황성신문」「대한신지지」「유년필독」「을지문덕전」과 같은 민족적 자각을 일깨우는 출판물 발행 금지
③ 「매일신보」「경성일보」같은 관제 어용신문을 발행해 일제의 식민지배 미화
④ ‘조선교육령’을 공포(1911) - 천황에게 충량한 신민 양성, 일본 국민다운 품성 함양
⑤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 선전 강화 : 「조선반도사」「조선사」발간
※ 「조선반도사」는 우리민족에 대해 자주성이 없는 민족, 문화의 독창성이 없는 민족, 당파성이 강한 민족이라고 왜곡
2. 수탈을 위한 토지조사와 농민층의 몰락
⑴ 토지조사사업
① 1912년 ‘토지조사령’을 공포하고 본격적으로 토지조사사업 나섬
② 식민지지주제를 강화하여 조선을 일제의 식량과 원료공급지로 만드는데 목적
③ 결과적으로 일본인, 조선인 지주의 성장을 가져왔고 조선농민의 몰락, 이농을 가져옴
⑵ 회사령과 민족자본의 몰락
① 1910년 12월에 ‘회사령’을 공포하여 조선의 상공업을 철저히 억제
② 회사령에 따라 조선에서 회사를 세우거나 운영하는데 총독이 절대적인 권한을 가졌고 조선인 자본은 제약을 받고 일본자본은 진출이 용이해져 조선경제는 일본경제에 예속되어 감
③ ‘삼림령’ ‘조선어업령’의 공포(1911)와 광산개발권의 약탈(1913)등 각종 경제자원 독점으로 조선을 식민지 수탈체제로 재편
⑶ 농민층의 몰락과 이농(移農) : 토지조사사업과 회사령으로 농민과 상공업자들은 고향을 등지거나 공장 노동자로 전락
3. 무단통치하의 민족운동
⑴ 나라안의 비밀결사운동
① 대한독립의군부, 대한광복회, 송죽형제회, 기성단, 자립단 등은 1915년경까지 항일운동을 이어 나감
② ‘비밀’이라는 조직의 특성 때문에 대중과 함께 독립운동을 꾀하는데 한계를 들러냄
⑵ 민중들의 생존권 투쟁과 항일운동 : 무단통치 아래 일제의 수탈에 저항한 노동자, 농민 등 민중의 투쟁은 주로 생존권을 지키려는 경제투쟁에 머물렸고 민중의 생존권은 일제 침략에 반대한 민족적 성격을 띰
⑶ 나라 밖에서의 독립운동
① 독립군기지 건설운동은 병합 직전 서간도로 건너간 신민회 회원들이 주측이 되어 시작
② 상해, 러시아의 연해주, 미주, 멕시코 등지에도 독립운동 전개
③ 망명한 민족운동가의 독립 이념과 방법을 두고 1910년 중반 이후 상당한 시련을 겪음
4. 1919년 3・1운동
⑴ 3・1운동 전야
① 1917년 러시아혁명과 1918년 월슨의 ‘민족자격주의’에 영향에 촉진된 측면도 있지만 그동안 무단통치 하에서 억눌려 온 민족의 반일감정이 폭발한 것
② 2・8 독립선언 : 동경에서 대한독립선언서 낭독
③ 각종 종교단체와 학생대표들의 대내적인 만세시위 계획 마련
⑵ 3・1운동의 시작 : 민족대표들의 소극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운동의 주도세력은 초기에는 청년과 학생
⑶ 도시에서 농촌으로, 만세시위의 확대
① 서울 시위에 참여했던 학생과 고종 국장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시위를 선동하고 조직하여 전국으로 확산
② 만세시위는 3・4월간 계속되었는데 처음에는 비폭력을 주장하였으나 점차 조직적이고 과격한 폭력적 인 양상을 띰
⑷ 3・1운동의 역사적 의의
①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속에서 수많은 희생이 뒤따르면서 좌절
② 세계에 우리 민족의 독립의식을 일깨운 위대한 민족해방운동이며 1차 세계대전 뒤 전승국 식민지에서 처음으로 일어난 피압박민족의 해방운동의 선구가 됨
③ 일제의 야만적인 무단통치 후퇴,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민족의 저력 확인
④ 상해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각계각층의 민중들이 민족해방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
※ 3・1운동 성격 : 반제국주의 운동, 항일민족운동, 비폭력 시위운동, 민족독립운동
'우리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하 일제의 수탈과 항일무장투쟁 (0) | 2018.02.25 |
---|---|
일제의 기만적인 문화정치와 민족해방운동 (0) | 2018.02.25 |
"조약" 체결과 국권회복운동 (0) | 2018.02.22 |
대한제국시대 열강의 경제침탈과 개혁운동 (0) | 2018.02.21 |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0) |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