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차 왕자의 난(= 방원의 난 = 무인정사 = 정도전의 난)
⑴ 1392년 8월, 방석(11세, 둘째부인 강씨 아들)을 세자에 책봉
⑵ 1398년 8월 25일, 방원을 중심으로 사병 동원
① 세자 방석, 방번 살해
② 정도전 제거
ⓐ 스스로 한나라 장량에 비유 : “한고조 유방이 장량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장량이 한고조를 이용했다”
ⓑ 이성계보다 자신이 더 개국의 주역임을 주장
ⓒ 통치자가 민심을 잃었을 때 물리력으로 통치자를 교체할 수 있다는 ‘맹자의 역성혁명론’ 주장
⑶ 방과가 세자로 책봉 → 정종 즉위 : 실권은 방원에게
⑷ 1398년 9월, 태조 : 방과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상왕으로 물러남
2. 2차 왕자의 난(=박포의 난 = 방간의 난)
⑴ 방간이 박포와 함께 사병을 동원 : 방원이 진압
① 방원 : 정략적으로 왕자의 사병을 혁파하려고 시도
② 왕위 계승에 대한 조정의 중론은 방원에게
③ 박포
ⓐ 1차 왕자의 난 당시 정도전이 방원을 제거하려 한다고 밀고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움
ⓑ 1등공신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해 불평하다가 귀양
ⓒ 방간이 방원과 사이가 좋지 않음을 알고 ‘방원이 방간을 죽이려 한다’고 방간에게 거짓 밀고
④ 박포의 밀고에 대해 진위도 가려보지 않은 채 사병을 동원해 난을 일으킴
⑵ 방간의 패배
① 방원의 반대 세력이 거의 소멸
② 방원의 왕위 계승을 촉진하는 계기 : 태종 즉위
3. 태종(1367~1422 재위)
⑴ 중앙 제도와 지방 제도 정비 : 고려 잔재를 완전히 청산
⑵ 군사제도 정비
⑶ 토지 조세 제도 정비
⑷ 노비 제도 정비, 신문고 설치
⑸ 교육과 과거 제도 정비
⑹ 숭유억불정책
⑺ 거북선 개발
① 태종 13년, ‘왕이 임진강 나루를 지나다가 거북선과 왜선으로 꾸민 배가 해전 연습을하는 모양을 보았다’
② 태종 15년, 좌대언 탁신의 ‘거북선의 전법은 많은 적과 충돌하더라도 적이 해칠 수 없으니 결승의 양책이라 할 수 있으며 거듭 견고하고 정교하게 만들게 하여 전승의 도구로 갖추어야 한다’ 상소
③ 거북선 : 왜구 침입이 잦았던 고려 말기에 고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⑻ 수도를 개경에서 다시 한양으로 천도
① 1394년, 태조 : 한양
② 1398년, 정종 : 개경
ⓐ 한양의 시설이 미비하여 개경을 그리워하는 신민(臣民)의 정이 심각했다.
ⓑ 1차 왕자의 난으로 왕실의 큰 불상사인 골육상잔의 참변이 일어났다.
③ 1404년, 태종 : 한양
'우리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신데렐라 신빈 김씨 (0) | 2018.01.23 |
---|---|
세종(世宗, 1418~1450 재위) (0) | 2018.01.23 |
이성계, 태조(太祖, 1392~1398 재위) (0) | 2018.01.22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0) | 2018.01.22 |
조선왕조 역대 王들의 사망 원인과 수명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