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신화, 설화
⑴ 왜 생겨나는가?
① 자연발생이 아니고 정치 이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② 신화를 만든 후세인이 자신의 정치 이념에 입각하여 선대의 역사를 직필하기 곤란할 경우 상징·비유법을 구사
③ 대부분의 신화, 설화는 꾸민 사람외에는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다
⑵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① 역사서 집필자가 역사서를 지을 때 사용한 기술 기법과 실사를 신화, 설화로 꾸미는 구성 기법을 파악하면 된다
② 고대인의 비유·상징 기법 : 고대인의 우주관, 세계관, 종교관에서 우러나와 그들의 삶에 있어 정형화된 관념과 그에 따른 사고와 발상을 말과 글로 표현
∴ 고대인의 다양한 관념과 사고 발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해야 한다
⑶ 신화·설화의 구성 : 바로 쓰기 곤란한 사건 → 중요한 의미 요소 추출 → 각 요소별로 높은 수준의 상징·비유법 적용 → 압축·함축된 의미 요소 (상징적·비유적인 연결고리)로 변환·치환 → 신화·설화 구성
⑷ 신화·설화의 해석 : 신화·설화 → 압축·함축된 의미 요소(상징·비유가 구사된 연결 고리) → 높은 수준의 상징·비유법 역적용 → 실사적인 의미 요소로 변환·치환 → 실제 사건으로 재구성, 복원
2. 신화·설화의 의미 요소
⑴ 출생과 죽음
① 출생 : 그 아이를 시조로 하는 새로운 지배 권력 출현 또는 새로운 왕조 성립을 상징
② 새로운 왕조 출발을 시조 탄생으로 꾸민 것은 고대인들이 실제 사건을 신화·설화로 꾸밈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발상의 하나 : “하나의 왕조 운명을 한 사람의 일생에 비유한 표현”
③ 죽음 : 권력을 상실하는 것
⑵ 난생(卵生)
① 고주몽, 김수로, 박혁거세, 석탈해 등 : 금와는 대석(大石)으로 대체
② 천신(天神)과 관련한 신분의 신성성(神聖性)과 신이성(神異性)
③ 김알지 : 궤에서 태어났다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왕이 되지 못했기 때문
④ 천손 강림의 매체 : 조류, 용, 거북 등은 천신(天神)의 자손을 지상에 날라 오는 매체로 인식
⑤ 천지간의 과도기
ⓐ 알은 왕조를 상징
ⓑ 알이 인간 세상에 출현하는 것
- 천신(天神)이 지상에 하나의 왕조를 내려준다는 의미
- 왕조 성립의 예고, 준비 기간
- 천신(天神)의 아들인 천자(天子)가 지상에 태어나기 전의 과도기적 상태
⑥ 알을 깨고 나온다
ⓐ 빛을 본다는 의미
ⓑ 천신사상(天神思想) = 태양신사상(太陽神思想)과도 관련하여 천신의 자손으로서 천신의 후광(後光)을 업고 지상에 강림한다고 보는 것
⑦ 고대 청동기시대의 제련 기술이나 철기 시대의 제철 기술은 고대 국가를 세우는데 절대적인 요소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알’이란 것이 ‘제철로’를 상징 - 알을 세로로 놓고 가로로 반을 자르면 모양이 제철 도가니와 같다
⑶ 출생에 있어 부(父)의 유무
① 아버지가 있는 경우 : 단군, 고주몽, 석탈해, 경경저(일본) 등
② 아버지가 없는 경우 : 박혁거세, 김수로, 김알지 등
③ 천신이 부이거나 부가 없는 경우
ⓐ 국가 조직이 없는 곳에서 왕조를 최초로 이룬 창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 예 : 박혁거세, 김수로
④ 부가 있는 경우
ⓐ 왕조를 중간에 인수한 경우로 이해된다
ⓑ 예 : 단군, 경경저, 고주몽
⑤ 과부는 왕통교체
ⓐ 모(母)가 과부 : 혈통이 다른 경우로 이해된다
ⓑ 예 : 비류, 온조
⑥ 천신의 자(子), 손자(孫子)로 설정된 경우 : 통치권을 정당화하는 신성성(神聖性)의 측면에서 보다 강화된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예 : 단군, 주몽)
⑦ 부가 작은 나라의 왕으로 설정된 경우 : 왕가(王家)를 이룰 만한 귀골(貴骨)로 표현(예 : 석탈해)
⑧ 그 나라를 구성하는 여러 족벌의 세력이 비슷하여 신화에서 특정하여 표현하기 어려워 부모가 없는 것으로 설정되었을 수도 있다 : 박혁거세, 김알지, 김수로
⑨ 완전한 왕조를 이루는데 실패한 경우 : 용이 아닌 초라하고 왜소한 지렁이로 표현 (예: 견훤)
⑷ 아이의 수명은 왕조의 존속 기간
① 신화 : 한 왕조의 운명을 사람의 일생에 비유
② 단군 수명 = 고조선 존속 기간 : 제왕운기 1038, 응제시주 1048, 삼국유사 1908
⑸ 일광감정(日光感精)
① 여성이 빛을 쬐거나 기를 쐬고 이이를 가져 낳고 그 아이가 장성하여 나라를 세워 시조가 되었다
② 빛줄기 속에서 바로 아이가 태어나 후에 장성하여 시조가 되었다
③ 부가 없는 경우이고 굳이 표현하자면 천신이 부
④ 천신사상과 관련
⑤ 빛(光) = ‘완전’
⑥ 신성성의 담보
⑹ 해(日), 용 : 왕을 상징
⑺ 하늘(天)
① “하늘에서 내려왔다” : 선주지(先住地)를 의미
② 예 : 박혁거세, 김수로, 해모수, 경경저
③ 바다, 강, 호수와 관련된 해양·수산활동 집단이라면 해신(海神)·수신(水神)
⑻ 왕권의 상징
① 옥(玉), 구슬(珠), 서(瑞 : 왕을 서자(瑞子)로 표현)
② 구리 거울
③ 만(縵) : 비단으로 만든 머리에 쓰는 납작한 모자
④ 칼, 활, 화살, 화살통, 북, 피리
⑤ 좌(座), 위(位) : 왕이 앉는 자리, 의자 - 왕위 비유라기 보다 직설적인 표현
⑥ 장(藏), 고(庫), 창(倉) : 왕실의 재고(財庫) 의미
⑦ 재(載), 비단(錦·絹), 까마귀(烏)
⑼ 왕조(왕실)의 비유
① 꽃
② 왕을 부처로, 왕실을 불법(佛法)으로 비유
③ 기록물(紀, 記)
⑽ 왕통의 비유 : 나무
⑾ 여성
① 처녀 : 새로운 영토, 개척 대상이 되는 땅, 미(未)정복지를 의인화
② 혼인 : 영토를 의인화한 여성과 혼인을 하는 것은 영토를 개척·정복하거나 인수하여 통치권을 가지게 되는 것
③ 비정상적인 남녀관계(간음, 위계) : 권력을 비정상적인 방법을 통해 차지했다거나 왕권승계가 순조롭지 못했다
④ 혼인한 여성 : 영토에 대한 지배권, 통치권을 의인화
⑿ 양마(養馬)
① 기마민족의 경우 말이 군대를 상징
② “양마를 했다” = 군대 지휘관이 되었다
⒀ 특정 집단을 상징화
① 박혁거세 집단 : 천마(天馬)
② 김수로 집단 : 거북
⒁ 색깔로도 상징을 구사 : 붉은색 계열, 노란색 계열, 흰색 계열, 푸른색 계열
⒂ 까마귀(烏) : 이름에 오(烏) - 제철 집단의 장으로 판단
⒃ 위인의 상징 : 용, 대수(大水), 거목(巨木), 새
⒄ 축소 비유
① 1년 : 하루
② 나라 : 뜰, 집, 마을, 현(縣), 절
③ 집단 : 한 개인
'우리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탈해 신화(昔脫解 神話) (0) | 2018.01.09 |
---|---|
박혁거세 신화(朴赫居世 神話) (0) | 2018.01.08 |
김수로 신화(金首露 神話) (0) | 2018.01.08 |
해모수(解慕漱) (0) | 2018.01.08 |
주몽 신화(朱蒙 神話) = 동명왕 신화(東明王 神話) (0) | 2018.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