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증법적 유물론이란?
 ⑴ 철학적 원리: 존재 세계의 법칙을 ‘변증법적’으로 파악하는 방법론.
 ⑵ Marx와 Engels가 기초를 확립.
 ⑶ Lenin 및 그 외의 Marxist들이 발전시킴.
 ⑷ 관념론 철학의 반대.
 ⑸ 이론의 계보를 보면 Hegel 관념론적 변증법에서 그 發生淵源(발생연원)을 찾을 수 있다.

 

2. Hegel, 《역사철학》(The Philosophy of History).
 ⑴ Kant도 해결못한 ‘物自體’(물자체)의 의문을 제거.
 ⑵ 순수 관념론의 체계화를 시도한 사상가.
 ⑶ Hegel의 역사적 정신(변증법적 정신): Marx와 Engels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3. Hegel의 변증법.
 ⑴ 모든 사물의 본질: ‘절대적 관념’의 자기 발전으로 파악.
 ⑵ 존재 = 역사적 발전형태.
 ⑶ 역사 발전의 내재적 動因(동인).
  ① 사물자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 모순에서 찾았다.
  ② 변증법의 이론적 기초.
  ③ 모든 사물이 자신의 내부에 대립과 투쟁의 契機(계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계기를 통하여 운동하고 변화한다.
  ④ Hegel의 변증법: 그러한 운동 내지 변화의 필연성을 추출하여 정리했던 것.

 

4. Hegel의 변증법적 유물론.
 ⑴ 자연과 사회의 발전 그리고 이 발전이 인간 의식내로 반영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
 ⑵ 전체세계를 과학적으로 묘사하고 그것의 일반법칙을 연구하는 것.
 ⑶ 일반법칙 중 가장 기본적인 명제: “세계는 발전한다.”

  ※ 세계? 자연, 사회, 및 思惟(사유).
 ⑷ 근본법칙.
  ① 고전적인 3대 법칙.
   Ⓐ 量(양)의 質(질)로의 轉換(전환) 및 그 반대의 법칙.
   Ⓑ 대립물 통일의 법칙.
   Ⓒ 부정의 법칙.
  ② 변화된 4대 법칙.
   Ⓐ 연관과 상호작용.
   Ⓑ 변화와 발전.
   Ⓒ 양적변화의 질적 변화로의 이행.
   Ⓓ 대립물의 투쟁.
  ③ 주목해야 할 점: 後者(후자)가 ‘부정의 부정’을 들고 있지 않다.
   Ⓐ 부정의 부정: 자연, 역사 및 사유에서 매우 일반적이고 그런 이유때문에 매우 광범위하게 작용는 중요한 발전법칙.
   Ⓑ 발전 법칙이 되기 위해서는 제1의 부정이 제2의 부정에 대한 전제로서 가능하든지 아니면 가능하도록 처리해야 한다.
   Ⓒ 인식상의 방법으로 새로운 대상에 ‘부정의 부정’의 법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대상이 가지는 부정의 특수한 양식을 알아야 하며, 이것을 무시한 채 이 법칙을 적용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변증법적 형식화에 빠지게 된다.
  ④ 後者(후자)의 법칙들은 前者(전자)의 그것보다 더욱 깊이 연구되고 정리된 것.

'서양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 구분론  (0) 2019.12.18
Karl Marx의 唯物史觀(유물사관)  (0) 2019.12.18
아날학파(Annales School)  (0) 2019.12.18
實證主義 史學(실증주의 사학)  (0) 2019.12.18
근대 역사서술  (0) 2019.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