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 Marx.
⑴ 저서.
  ① 《공산당 선언》(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
  ② 정치경제학 비판(Zur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
  ③ 자본론(Das Kapital).
 ⑵ 철학적 입장을 당시 서구 자본주의사회의 혁명적 붕괴와 공산주의사회로의 변이라는 사회변동 분석에 적용.
 ⑶ ‘유물사관‘(the Materialist View of History)이라는 사회인식의 틀을 정립.

 

2. 사회를 구조적으로 인식: ‘하부-상부구조론’ ‘사회구성체론’.

 

3. 역사발전을 경제결정론적으로 인식: 유물사관의 핵심.
 ⑴ 역사주의 + 경제주의.
 ⑵ 역사발전은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갈등에서 시작.
 ⑶ “사람들의 사회적 존재가 그 인식을 결정한다”라고 하였을 때 결국 인간의 인식을 결정하는 것은 그 사회의 생산양식(즉, 경제적 토대).

 

4. 역사발전을 갈등론적 혹은 계급투쟁적으로 인식: 계급사관 - 抑壓者 對 彼抑壓者(억압자 대 피억압자).
 ⑴ 고대: 자유인 對(대) 노예, 또는 귀족 對 평민.
 ⑵ 중세: 영주 對 농노, 또는 길드 상인 對 직공인.
 ⑶ 근대 자본주의: 부르주아(유산 자본가) 對 프롤레타리아트(무산자, 임금노동자).

 

5. 역사발전을 계급적으로 인식: ‘역사발전 5단계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