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⑴ James Ⅰ(1603-1625): 스튜어트왕조 시작.
  ① 철저하게 왕권신수설을 신봉: 전제정치를 실시.
  ② 의회의 승인이 없었던 독점권을 남발.
   Ⓐ 의회와 대립.
   Ⓑ 국민, 특히 상공업자들이 반감을 가짐.
  ③ 청교도에 종교박해.
 ⑵ Charles Ⅰ(1625-1649).
  ① 전제정치강화.
  ② 구교위주 정책.
  ③ 의회와 대립이 격화: 1628년, ≪권리청원≫.
   Ⓐ 의회가 왕권을 견제하기 위해 제시한 것.
   Ⓑ “의회의 동의가 없는 인신구속과 과세는 없다”: 의회과세권을 재확인.
  ④ 권리청원을 승인한 후 의회를 해산(1629-1640).
  ⑤ 1638년, 대(對)스코틀랜드 전쟁: 스코틀랜드의 배상금요구.
  ⑥ 1640년, 전쟁배상금문제로 의회를 소집: 혁명이 시작됨.
 

 

2. 혁명의 1단계(내란): 1643-1648.
 ⑴ 젠트리출신 Cromwell.
  ① 신형군(New Model Army)을 조직: Naseby대첩 승리(1645)의회군이 주도권을 장악.
  ② 내란 성격(혁명초기) → 국왕처리 문제가 대두 → 본격적인 혁명이 시작.
  ⑵ 의회파 분열

 

 ⑶ 보수적인 장로파가 주도 → 독립파와 수평파가 연합하여 장로파를 타도 → 독립파가 수평파를 타도, 혁명의 주도권 확립 → Charles Ⅰ세가 유배지에서 탈출하자 장로파 숙청됨.

 

3. 혁명의 2단계.
 ⑴ 1649, 1월: Charles Ⅰ처형, 군대가 혁명을 주도.
  ① 의회탄압.
   Ⓐ 군주제와 상원을 폐지.
   Ⓑ 1649. 5월 공화제 선포: 의회와 군대가 지배 - 2원제(二元制).
  ② 왕당파, 가톨릭파, 수평파를 탄압.
  ③ 중상주의정책: 항해법 제정으로 네델란드의 중개상업에 타격을 가함.
  ④ 철저한 청교주의: 1653년 Chomwell의 쿠테타 - 군사독재정치.
 ⑵ 1653년 ≪통치장전≫.
  ① 영국최초의 성문법.
  ② 호국경 정치(1655-1659).
   Ⓐ 독재정치: 전권(全權)을 호국경이 소유.
   Ⓑ 금욕적 청교정치.
   Ⓒ 단원제 의회.
   Ⓓ 조합교회.
 ⑶ 1660년, 왕정복고(王政復古): Charles Ⅱ 즉위.
  ① 국민의 호국경 정치에 대한 염증을 반영하는 것.
  ② 체제: 장기의회에서 제정된 개혁법안을 계승.
  ③ 군대에 지불못한 봉급을 지급.
  ④ Cromwell 부관참시.
  ⑤ Charles Ⅱ를 처형한 재판관 15명 사형.
  ⑥ 혁명중에 구입한 토지의 소유를 인정.
  ⑦ 신교의 자유인정.
  ⑧ Cavalier 의회소집(1661-1679).
   Ⓐ Puritan을 탄압.
   Ⓑ 반동입법을 제정: 도시자치법, 예배통일법, 54일 격리법.

 

4. 의의.
 ⑴ Tory 사관(1702-1848): 19세기 전반까지 확고한 위치를 고수.
  ① 영국혁명 = ‘반란’.
  ② 최초: T. Hobbes.
  ③ Clarenden: 최초로 혁명사체계를 서술.
  ④ 지지자: L. Echard, D. Hume.
 ⑵ Whig 사관(1848-1940년대).
  ① 영국혁명 = 청교도혁명.
  ② 19세기 중반부터 약 1세기간 영국의 전통사관으로 그 권위를 유지.
  ③ 지지자.
   Ⓐ W. Godwin, 《공화국사》: 혁명의 민중적인 요소에 주목.
   Ⓑ T. B. Macaulay, 《영국사》 (History of England): 휘그적 해석을 제시.
   Ⓒ 완성: S. R. Gardiner.
 ⑶ 사회·경제사관(1940년대).
  ① 영국혁명 = 프랑스 혁명 = ‘시민혁명’.
  ② 최초: Guizot.
  ③ 지지자: F. Engles, C. Manning, E. Hobsbawn, E. P. Thompson, C. Hill.
  ④ 부르주아 혁명으로 파악하였으나 후에 스스로 철회: 혁명담당자가 지주계급인 Gentry 이들은 왕당파와 의회파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
 ⑷ 주도사관이 없는 논쟁시대(1950-1970).
  ① 영국혁명 = 대반란.
  ② Neo-Toryism, Neo-Whiggism, New- Left 등이 출현.
 ⑸ 수정주의 해석(1975년 이후).
  ① 영국혁명 = 우발적인 내란.
  ② 수정주의는 부활된 Neo-Toryism.
  ③ 역사가: C. Russell, Sharpe.
 ⑹ 최근의 경향.
  ① 영국혁명 = 복수 혁명.
  ② C. Russell.
   Ⓐ 제한적으로 성공한 정치혁명 = 의회혁명.
   Ⓑ 실패한 사회혁명 = 군대혁명.
  ③ C. Hill: 성공한 부르주아 혁명 + 실패한 민중혁명.
  ④ L. Stone.
   Ⓐ 영국유일의 대혁명.
   Ⓑ 서구최초의 대혁명.
   Ⓒ 결과론적으로 사상혁명.
  ⑤ G. E. Aylmer.
   Ⓐ 전체적으로 보면 반란.
   Ⓑ 일시적이고 부분적인 중산층 혁명이자 청교도 혁명.

'서양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예혁명 (1688)  (0) 2019.12.19
Gentry(젠트리) 논쟁  (0) 2019.12.19
쿠데타(Coup d'etat) ?  (0) 2019.12.19
revolution이라 함은?  (0) 2019.12.19
러시아 10월혁명과 Revolution개념에 대한 그 영향  (0) 2019.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