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대구에 가톨릭이 들어온 경위와 신도 수 등 : 자료가 없어 알 길은 없음

②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 지방의 남인(南人) : 가톨릭을 받아들이지 않음

③ 가톨릭 전래 초기, 영남지방 : 박해에서 벗어나 있었음

④ 충청도 전라도 신자 : 경상도 북주 산간지역으로 들어와 ‘신자촌’(信者村) 형성

⑤ 1815년, 을해박해(乙亥迫害) : 걸인 ‘전지수’ 밀고, 대부분 방면(放免)

⑥ 1825년 (순조 29)경, 대구읍성내의 김(金)씨, 이천 서(徐)씨, 비산동의 이(李)씨

 ⓐ 인척관계

 ⓑ 서씨 집안 : 대구의 가톨릭 발전에 큰 영향

⑦ 1827년, 정해박해(丁亥迫害) : 9명 순교

⑧ 박해를 피해 가톨릭교도가 피난하여 교우촌(敎友村) 형성 : 신나무골, 새방골, 한티

 ⓐ 신나무골 : 칠곡군 지천면 신동에서 왜관으로 가는 국도를 따라가다가 연화동 못 미쳐 솔티 고개 바로 너머에 있는 벽촌(僻村)으로 프랑스인 로베르(Archille Robert, 김보록(金保祿)) 신부가 1886년 처음으로 본당을 건립한 곳

 ⓑ 새방골(서구 상리동) : 와룡산 동쪽 산기슭에 있는 손골, 죽전마을 등 자연부락

 ⓒ 한티

   -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의 팔공산 골짜기에 있는 산촌

   - 박해를 피해 온 많은 교도들이 모여 형성된 신앙 마을

   - 1866년, 병인박해(丙寅迫害) → 가톨릭 성지 조성

⑨ 1886년(고종 23) 조불조약(朝佛條約)

 ⓐ 가톨릭 선교 허용

 ⓑ 대구본당 신설

⑩ 1891년(고종 28), 경상도 관찰사 가톨릭 금압령(禁壓令)

 ⓐ 로베르 신부 : 철회 요구 → 하빈(河濱)으로 추방

 ⓑ 관련자 5명 : 유배

 ⓒ 로베르 신부 : 프랑스 공사에 구원 요청 → 금압령 철회

⑪ 대구 본당

 ⓐ 새방골 → 대구읍내인 대야불(지금의 북성로)

 ⓑ 1897년, 계산동 초가집을 임시성당으로 하고 성당 건립에 착수

 ⓒ 1899년, 한국식 목조 십자형 성당 건축

 ⓓ 1901년, 2월 소실 → 1903년 재건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