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1901년, 일본에 경부철도주식회사(京釜鐵道株式會社) 신설 : 철도교통의 요지로 주목
② 대구에 일본이 대거 진출 : 대구역 예정지, 시가지 주변 토지 매입
③ 관찰사 이윤용(李允用) : 토지 매입 금지시키나 일본인 반발로 실패
④ 1904년 1월, 대구 북문 밖 지금의 대구역 자리에 경부철도 남부건설사무소 설치
ⓐ 대구 구간 철동 공사 본격화
ⓑ 많은 일본인 이주 : 대구 경제권 장악
⑤ 1903년 12월, ‘경부철도 속성명령’ : 철도공사 가속화
⑥ 1905년 1월, 대구-부산 개통
⑦ 철도개설 영향
ⓐ 서울-부산을 잇는 주요 역으로 등장
ⓑ 각종 화물의 경제적 수송이 가능해져 새롭게 주목받는 도시로 성장
ⓒ 1918년 10월, 대구-경주-포항 철도 개통 : 상권이 동해안까지 확대
⑧ 일제의 경제적 침투뿐만 아니라 대구 농산물과 원료품 약탈이 더욱 확대되어 대구지역 무역의 대일 예속
'대구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트교 전래와 선교 활동 : 가톨릭 (0) | 2018.01.22 |
---|---|
근대 대구지역의 변화 : 일본인 거류민의 압력으로 대구읍성 철거 (0) | 2018.01.22 |
근대 대구지역의 변화 : 행정구역 개편 (0) | 2018.01.22 |
조선시대의 대구 (사이트 : 대구향토역사관) (0) | 2018.01.22 |
금호강과 대구천 사이를 흐르는 신천(新川)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