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청일전쟁(淸日戰爭, 1894)때 병참 부대가 달성(達城)에 주둔한 것이 대구에 첫 발

 ⓐ 전쟁후 소수의 헌병과 통신수비대만 남기고 철수

 ⓑ 대부분의 일본 상인도 철수 : 히자즈키(膝付益吉), 무라이(村井) 상점을 계속 남음

② 히자즈키

 ⓐ 1899년, 대구 최초의 근대학교인 달성학교(達城學校)에 관여

 ⓑ 1905년 경부선 개통때 철도원

 ⓒ 사실상 대구 최초의 일본인 이주자

③ 러일전쟁(露日戰爭, 1904)

 ⓐ ‘일본 거류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전신과 철도시설을 보호한다’

 ⓑ 7월에 1개 소대, 8월에 중대 병력을 주둔

④ 일본 12여단 : 고쿠라(小倉) → 대구, 사령부 설치

⑤ 1909년 7월, 제12여단은 철수하고 임시 조선 파견대 사령부로 대치, 병력 증강

⑥ 1910년 6월, 대구헌병대(大邱憲兵隊) 본부 설치

⑦ 1920년, 부대 주둔지 일부를 분할하여 문부성 직할 일본인 학교 설립, 운영 → 1935년, 대구중학교

⑧ 미군 캠프헨리

 ⓐ 남구 이천 1동 363번지 일대

 ⓑ 미 제19지원사령부 역할

 ⓒ 6.25전쟁으로 미8군 사령부가 주둔한 후 지금까지 미군이 사용

⑨ 미군 캠프워커

 ⓐ 남구 봉덕3동 641-1번지 일대

 ⓑ 일본군 보병 제80연대의 군용 경비행장과 군사시설로 사용되었던 곳

 ⓒ 6.25전쟁 이후 지금까지 미군이 사용 : A-3 비행장

⑩ 미군 캠프조지

 ⓐ 남구 대명8동 23번지 일대

 ⓑ 일제시대때 시민운동장으로 사용되다가 6.25전쟁이후 지금까지 미군이 사용

⑪ 일제가 주둔했던 곳을 그대로 미군이 이어 받아 사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