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전두환 전 대통령의 1987년 「4·13호헌조치」발표 후, 그 해 6월 10일을 정점으로 20여 일 동안 전국으로 확산된 항쟁이자 민주화운동
2. 배경
(1)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전 대통령, 「4·13호헌조치」 발표
① 핵심 논의 : 개헌논의 중지와 제5공화국 헌법에 의한 정부이양
② 사회 각계 인사들의 비난 성명
(2) 1987년 5월 27일,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가 발족
① 재야세력과 통일민주당이 연대하여 형성
② 610항쟁의 구심체 역할을 담당
(3)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공식 성명
①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조작·은폐되었다"
② 국민 분노는 전국으로 급속히 확산
(4)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 ‘박종철군 고문살인 조작·은폐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를 전국적으로 개최
3. 경과
(1) 1987년 6월 9일, 연세대학교 학생
① 6월 10일로 예정된 국민대회에 출정하기 위해 연세인결의대회를 개최
② 정문 앞에서 시위를 벌이던 중 이한열 학생이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쓰러지는 사건 발생, 사망
(2) 1987년 6월 10일,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가 공식 주도한 국민대회
① 서울 및 전국 22개 주요 도시에서 약 24만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참여, 동시다발적 진행
② 경찰 6만여 명의 투입
③ 모든 지역에서 산발적인 야간시위와 철야농성, 지속적인 투쟁 형태
(3) 서울 명동성당 점거농성
① 6월 15일까지 계속
② 항쟁의 지속과 전국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 담당
(4) 국민운동본부
① 6월 18일을 ‘최루탄 추방의 날’로 선포하고 최루탄 추방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
② 전국 16개 도시 247곳에서 일제히 시작된 이 대회에는 150여만 명의 민중이 참여
③ 부산 지역 시위에서 이태춘 : 얼굴 전체에 최루탄을 뒤집어 쓴 채 고가도로에서 떨어져 사망
(5) 6월 24일, 전두환과 김영삼의 여야 영수회담 결렬
(6) 6월 26일, 국민운동본부
① ‘국민평화대행진’ 강행
② 610항쟁의 절정
③ 전국 34개 도시와 4개 군에서 130여만 명의 시민과 학생들이 참여
④ 민주화투쟁의 열기를 한군데로 집약시킨 결과물
(7) 전두환 정권, 「6·29선언」 발표
① 직선제 개헌 약속
② 여러 민주화조치 시행 약속
4. 결과
(1) 전두환 정권 출범 이후 점증된 민주화 열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
(2) 5공화국의 실질적 종말 초래
(3) 610항쟁에 참여한 다양한 저항 주체 : 대통령 직선제라는 요구 관철 이후 이해관계에 따라 급속히 해체
5. 의의와 평가
(1) 610항쟁의 부분적 성공 : 한국현대사에서 절차적 민주주의가 뿌리내릴 수 있는 계기를 제공
(2) 1980년대 후반 사회 각 부문 운동이 분화되고 조직화되는 계기
(3) 1987년 7~8월 노동자대투쟁과 농민집회,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형성의 배경
보다 자세히 보려면 여기 클릭
'우리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달과 평강공주 (0) | 2019.10.26 |
---|---|
국조(國祖) 단군은 실존인물인가? (0) | 2019.09.26 |
518민주화운동(1980.5.17-5.27) 타임 라인 (0) | 2019.07.12 |
부마항쟁 (0) | 2019.07.12 |
419 (미완의) 혁명 주요 일지 및 전개 과정 (0) | 201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