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문서?
 ⑴ 옛문서로 대체로 1910년 이전 문서
 ⑵ 필수 요소
  ① 문서의 발급자와 수취자
  ② 문서 발급 목적
 ⑶ 공문서
  ① 국왕문서 : 국가 정책, 인사이동 등 가장 공적인 부문
  ② 관청문서 : 중앙 및 지방의 사회경제적인 운영 실태 기술
 ⑷ 사문서 : 국가와 개인, 개인과 개인, 개인과 단체, 단체와 단체간에 주고받은 문서
 
2. 교지류(敎旨類)
 ⑴ 국왕이 내리는 대관부문서
 ⑵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자격, 시호, 토지, 노비 등을 내려주는 문서
 ⑶ 가장 대표적인 것이고 엄격한 형식으로 작성
 ⑷ 문서명, 관직 임명 내용, 발급연월일 등 기재
 ⑸ 시명지보(施明之寶) 찍는다
 ⑹ '교첩'
  ① 발급처, 왕명을 받은 날짜, 관직임명 내용, 발급연월일, 담당자 수결 기재
  ② 이조지인(吏曺之印) 또는 병조지인(兵曺之印) 찍는다
 

3. 호적류(戶籍類)
 ⑴ 호적 작성 절치
  ① 호주가 호구단자(戶口單子) 작성 : 자신의 호구 신고
  ② 읍 
   ⓐ 구 호적과 대조하여 사실 확인
   ⓑ 호구수 확인
   ⓒ 호적 중초(中草) 작성
   ⓓ 호구단자는 제출한 호주에게 돌려 준다
   ⓔ 중초 정서
   ⓕ 호적대장 3부 작성 : 호조(또는 한성부)와 본도에 올려 보낸다
   ⓖ 1 부는 읍에 남긴다
     - 군역 차출, 신분 확인, 노비 추심 및 소송 자료로 이용
     - 백성이 증명할 필요가 있을때 관아에서 수령이 준호구(准戶口) 발급
  ⑵ 호적 내용
   ① 거주지(읍, 면, 리, 통호)
   ② 호주와 호주의 처
   ③ 솔거인(率居人) 즉 자(子), 자부(子婦), 질(姪) 등
   ④ 노비와 고공(雇工) 등
   ⑤ 호주와 호주의 처 : 호주 나이, 본관, 4조(祖) 기재
   ⑥ 솔자(率子) : 직역, 이름, 연령
   ⑦ 자부 : 성씨, 나이, 본관(양반은 적<籍>, 평민 이하는 본<本>)
   ⑧ 노비 : 이름, 나이, 부모 이름과 신분, 부와 처의 이름과 도망여부 등
   ⑨ 호구단자의 제출연도, 신고인인 호주 성명, 수결(手決)
 
4. 명문(明文) 패지류(牌旨類)
 ⑴ 명문
  ① 부동산이나 물품 등에 대한 권리 또는 영업권을 매매, 상환, 환퇴(다시 물리는 것), 전당(典當) 등을 할 때 이를 증명하는 근거로 작성하는 계약서
  ② 양식 : 작성시기, 매수인명,거래 이유, 매물 내용, 가격, 거래조건, 매도인, 증인, 집필인 이름 등
 (2) 패지 : 노비에게 거래를 위임하는 문서
  ① 토지, 노비 등을 매매할 경우 모댁노모(某宅奴某) 명의로 매도 매수 : 유교적인 명분상 양반 신분이 직접 거래에 나서기 꺼렸기 때문
  ② 노비를 전면에 내세웠던 것
  ③ 양식 : 노비 이름, 거래 이유, 매물 내용, 작성시기, 상전 이름과 수결 등
 

 
5. 분재기류(分財記類) : 소송 증거자료로도 이용
 ⑴ 재산상속 문서 : 재주(財主)가 토지, 가옥, 노비 등 재산을 자녀들에게 상속하여 준 내용을 기록한 것
 ⑵ 양식 
  ① 재산 상속 배경
  ② 자녀별 분급 내용 기재
  ③ 증인 수결
 

6. 과문(科文) = 과지(科紙) = 시권(試券)
 ⑴ 과거시험때 응시자가 제출하는 시험 답안
 ⑵ 시험지
  ① 응시자가 준비 : 오른쪽 상단에 본인 관직, 이름, 나이, 본관, 거주지, 4조(부, 조, 증조, 외조) 기재하여 제출
  ② 서울은 녹명관인 사관원(예문관, 성균관, 교서관, 승문원) 지방은 감사 주관아래 인장을 찍고 되돌려 준다
  ③ 관원이 응시자 이름을 알아볼 수 없도록 그 위로 종이로 붙힌다
  ④ 작축(作軸) : 제출된 답안지는 100장씩 묶어 천자문 순서에 따라 수험번호를 매긴다
 ⑶ 답안 작성 양식
  ① 생원, 진사시와 전시의 시권 : '해서'로 쓸 것
  ② 노장(노자, 장자), 불가의 문자를 쓰거나 순자, 음양서, 패설을 인용하지 말 것
  ③ 색목(색목일당파, 色目一黨派)을 언급하지 말 것
  ④ 왕의 이름을 범하지 말 것
  ⑤ 괴기한 문자를 쓰지말 것
  ⑥ 대책(對策)에서는 먼저 시제(試題)를 베껴 쓰고 초 중 종장의 허두(虛頭)에 '신복독'(臣伏讀) 세 글자를 쓸 것 등
  ⑦ 시제와 자획이 다르거나 한 자라도 빠뜨리면 안된다
  ⑧ 국왕과 관계되는 문자 : 두 자 올려 써야 한다
  ⑨ 국가와 관계되는 문자 : 한 자 올려 써야 한다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상 이름 짓기  (0) 2019.04.29
풍수지리 & 음양오행설  (0) 2018.07.18
전적(典籍)  (0) 2018.07.17
도자기  (0) 2018.07.17
토기  (0) 2018.07.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