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토기의 시대별 변천
⑴ 신석기 시대
① 색 : 갈색계통으로 굵은 모래나 활석이 섞여 있다
② 질 : 단단하지 못하고 흡수성이 강하다
③ 중서부지방 : 바닥이 뾰족한 포탄모양
④ 남부지방 : 둥근바닥이 많고 북쪽으로 가면서 평평한 바닥
⑤ 빗금을 그어 기하학적 무늬 새기거나 점토띠를 덧붙였다
⑵ 청동기시대
① 색 : 갈색계통으로 굵은 모래가 섞여있다
② 바닥 : 평평
③ 표면 : 아무 무늬가 없다
④ 한반도 서북지방, 요하유역
ⓐ 공귀리형 : 손잡이 달린 항아리 모양
ⓑ 미송리형
ⓒ 서단산형
⑤ 대동강 유역 : 팽이 모양
⑥ 중부 이남 : 송국리형(짧은 목에 입술이 밖으로 벌어진 모양)
⑦ 구순각목토기, 공렬토기(입술아래에 구멍을 뚫은 모양)
⑧ 후기
ⓐ 흑도장경호 : 목이 길고 표면이 검다
ⓑ 점토대토기 : 입주위에 점토띠가 붙어있다
⑶ 고구려
① 색 : 회색과 황갈색
② 질 : 무른 편
③ 단지, 옹, 접시 등 실용적인 그릇이 많다
④ 대표적 형태 : 몸통에 4개 손잡이가 있고 입이 나팔모양으로 벌어지는 단자
⑤ 표면 : 그물 모양의 희미한 무늬(고구려 토기 특징)
⑷ 백제
① 색 : 회색과 적갈색
② 질 : 신라, 가야 토기에 비해 무르다
③ 일상생활이나 무덤 부장용으로 만든 단자가 가장 많았다
④ 바리 비중도 높다
⑤ 외형 : 부드러운 곡선
⑥ 겉면 : 문살무늬, 새끼줄무늬
⑦ 백제 고유의 그릇 형태 : 세발그릇, 뚜껑접시
⑸ 가야
① 색 : 회청색
② 굽다리접시, 밑이 둥근 목단지, 그릇받침
③ 신라 토기와 흡사
④ 특징
ⓐ 굽다리 접시에 뚫린 구멍이 상하로 일렬
ⓑ 그릇 외형이 곡선
ⓒ 그릇받침이 발달
⑹ 신라
① 색 : 회청색
② 단단한 토기가 많다
③ 가야 토기와 다른 점
ⓐ 굽다리접시의 굽에 뚫린 구멍이 엇갈리게 배치
ⓑ 목단지에 굽이 달렸다
ⓒ 외형이 직선적으로 벌어졌다
④ 6세기 이후 → 남북국 시대까지
ⓐ 굽다리접시의 굽이 짧아진다
ⓑ 병이 많이 사용
ⓒ 점, 원, 꽃무늬 등을 찍어 새긴 인화문이 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