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1909년, 대구지역의 계몽운동 단체인 달성친목회(達城親睦會), 교남교육회 가입

② 1909년 10월, 비밀 독립운동 단체인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 결성에 참여

③ 1910년, 국권이 강탈되자 9인 결사대 조직, ‘9공사 사건’(9인 동맹사건) 주도 : 서울에 주재하는 9개국 공사관에 국권강탈의 부당성을 담은 선언문 배포

④ 1913년, 침체에 빠진 달성친목회와 대동청년단을 활성화하는데 주력

⑤ 1913년, 강유원 간친회(講遊園懇親會) 결성 : 독립운동을 본격화

⑥ 1914년, 태궁상회(太弓商會) 설립 : 독립운동을 위한 연락망 확보

⑦ 1915년 1월 15일, 앞산 안일암에서 조선국권회복단 결성 : 외교부장

 ⓐ 풍기광복단과 조선국권회복단이 통합된 대한광복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 무력투쟁보다는 실력양성론을 우선한 그의 독립노선을 보여주는 것

⑧ 1919년 4월이후, 독립운동 자금 조달 및 국외에서의 통신연락 활동 전개

⑨ 1920년, 대구청년회 가입 : 1922년, 회장

⑩ 1921년, 조선인 본위의 산업정책, 조선인 산업 보호정책을 펼 것을 건의하고자 조선인

산업대회를 개최할 때 위원으로 참가

⑪ 1921년, 대구의 자본가와 함께 조양회관 건축에 참여

 ⓐ 1922년 11월 완공

 ⓑ 대구지역 정치세력의 모임 장소와 지역의 문화 체육 공간으로서 역할

⑫ 물산장려운동에 대구청년회를 중심으로 참여

⑬ 1925년, 타협적인 자치운동을 주장하는 단체인 연정회(硏政會)가 조직될 때 참여

⑭ 1925년, 대구농촌사(大邱農村社) 설립

 ⓐ 농촌의 사정을 조사 연구하여 농촌을 개량 발달시킬 목적

 ⓑ 『농촌』 발행

⑮ 일제 말기 행위로 인한 친일 시비

 ⓐ 친일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朝鮮臨戰報國團) 평의원

 ⓑ 조선인 청년 학생에게 학병(學兵)을 권유하는 강연

⑯ 광복후 정치활동

 ⓐ 한국민주당(韓國民主黨) 창설 : 총무

 ⓑ 1946년 2월, 비상국민회의(非常國民會議) 의월

 ⓒ 1947년, 미군정 입법기관인 남조선 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度立法議院) 의원

 ⓓ 1948년, 제헌국회 국회의원 당선 : 내각 책임제 개헌을 발기하여 최초의 개헌안 제출

 ⓔ 1956년 11월, 진보당(進步黨) 창당에 참가

 ⓕ 1957년 6월에 예정된 선거에서 진보당 부통령 후보로 지명되나 사양

 ⓖ 1960년, 사회대중당 창당 : 대표 총무위원 취임

 ⓗ 1960년, 제5대 민의원 당선

 ⓘ 1961년, 통일대중당 발기 : 5.16 쿠테타로 무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