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 전래 시기 : 4세기
※ 불상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고 제작하기 시작한 시기 : 6세기
1. 삼국시대 : 전쟁으로 인한 불안 즉 현세의 고통을 제거해 줄 미륵이 출현하길 간절히 기원
(1) 고구려 불상
① 사실적인 인체표현보다 강건한 기상을 강조
② 약동하는 힘의 조형
(2) 백제 불상
① 정교함과 세련미가 돋보임
② 아름다운 조화의 미
(3) 신라 불상 : 소박한 아름다움
(4) 미륵보살
① 당시 민심 결집의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각 사찰에 미륵보살 조성
② 미륵보살을 여성화하는 경향
ⓐ 종족을 보존시켜 나가는 것은 여인의 모성애라고 여겼던 민심
ⓑ '여권우위적'(女權優位的) 현실이 반영된 것
(5) 7세기 : 조형적으로 크게 변모
① 불상의 외형적 아름다움을 강조
② 백제말기 '금동불'에서 뚜렷
③ 도교(道敎)가 득세한 고구려와 상대적으로 유물의 예가 적은 신라 : 변화가 뚜렷하지 않음
2. 남북국시대 : 미륵 출현을 갈망하는 현세구원적 신앙 → '아미타 신앙'(선행을 하고 악행을 짓지 않으면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
(1) 석가불상, 미륵보살상 → 아미타 불상 조성
(2) 특징
① 당 영향
㉮ 비만감 증폭
㉯ 얼굴은 살이 오르고 몸도 살집이 넉넉
② 신라 계승
ⓐ 천진한 미소
ⓑ 겉옷 자락을 단순하게 정면으로 흘러내리게
(3) 8세기
① 당의 사실적인 조각 양식 수용 : 조화와 균형을 이룬 이상적인 불상들이 조성
② 한국 불교 미술의 전성기
(4) 9세기
① 지방화
② 중국 영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불상을 조성
③ '항마촉지인'을 한 불상, '지권인'을 한 비로자나불 유행 : 중국, 일본에선 유행하지 않음
(5) 위엄있는 얼굴 표정
(6) 몸에 붙은 얇은 옷자락으로 인해 신체의 굴곡과 양감이 뚜렷이 드러나기 시작
① 육체미를 통해 생동감 넘치게 표현
② 인도 굽타 조각에서 비롯
(7) 신체 조형도 각 부분의 비례가 맞지 않고 생동감을 잃은 위축된 모습으로 변모
(8) 남북국시대 말 : 3차원 공간을 점유하는 원각상 → 평면적인 부조 : 고려초까지 지속
① 규모 : 거대
② 불상 자체의 생동감과 정신적 숭고미는 현저하게 약화
③ 부속물인 광배나 대좌는 오히려 더 섬세하고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변모
3. 고려시대
(1) 특징
① 거대한 불상과 지역별 특색이 있는 불상 조성
② 골격이 드러나는 듯한 안면 표현
③ 옷 주름
㉮ 간략하며 계단식으로 층층이 표현
㉯ 두 다리 밑으로는 형식화된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진 옷 주름
④ 철불: 남북국시대 말부터 제작되어 고려시대에 유행
(2) 11세기 : 거대한 규모와 다소 낯선 듯한 조형미
(3) 후기
① 귀족적 분위기인 세련되고 온화한 불상 양식 유행
② 원나라 영향을 받은 불상 조성
(4) 13세기, 14세기
① 풍만한 얼굴
② 단순하면서도 유연한 옷 주름
③ 현실적인 신체 비례와 정교한 금구(金具) 장식
4. 조선시대
(1) 초기
① 왕실, 상류계층 : 불상 제작을 후원
② 왕실 중심으로 화려한 불사(佛事)가 지속
(2) 후기
① 여성, 지역민 후원
② 전국에서 승려 조각가가 불상을 제작
③ 특징
㉮ 신체 비례가 부자연스럽고 단순
㉯ 표정이 굳은 불상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자기 명칭과 종류 (0) | 2023.01.10 |
---|---|
우리나라 탑의 흐름 (0) | 2022.10.21 |
탑의 모양을 보면 만든 시기를 알 수 있다 (0) | 2021.05.09 |
전각 기둥에도 위계(位階)가 있다 (0) | 2021.05.06 |
탑 층수는 홀수 (0) | 2021.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