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윷놀이

 (1) 한자로 척사(擲柶), 사희(柶戱)

 (2) 윷 : 한자로는 나무 네 조각이란 뜻을 따서 사(柶)

 

2. 윷놀이 기원

 (1) 조선후기 실학자 이익 : "고려의 유속으로 본다"

 (2) 최남선 : 신라시대 이전으로 추정

 (3) 신채호 : 기원은 고대 부여( 수렵시대를 지나고 농사와 목축을 하는 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① 부여 지배체제 :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豬加), 구가(狗加)로 구성

  ② 각기 말, 소, 돼지, 개를 상징으로 하는 집단이 각기 한 구역을 다스렸다

  ③ 각기 사방을 경계 지은 사출도(四出道)를 담당 : 사출도는 전시체제에서 군사조직의 출진도(出陣圖) 모형
  ④ 도 : 돼지의 저가

  ⑤ 개 : 개의 구가

  ⑥ 윷 : 소의 우가

  ⑦ 모 : 말의 마가

  ⑧ 걸 : 임금자리인 기내(畿內)의 벼슬아치(양을 상징)


3. 윷판

 (1) 둥근 원 안에 십자를 그리고 밭 29개

 (2) 가운데 방을 중심으로 배치한 28개마다 우리말 이름 부여

  ① 입구 : 도

  ② 길이 갈라지는 곳 : 모, 뒷모, 찌모

  ③ 출구 : 참먹이

 (3) 방이 가장 한 가운데에 자리를 잡아 중심 축을 표시 
 (4) 하늘의 별자리인 28수(宿)를 표시 : 언제부터인지 불명확

  ① 중심인 방을 추(樞)

  ② 추

    - ‘가운데’

    - 밑동과 지도리

    - 북두칠성의 첫 별자리 이름 

4. 조선 중기 문인 김문표(金文豹), 사도설(柶圖說)

 (1) 윷판의 전체 주변이 둥근 것 : 하늘

 (2) 중심에는 십자를 그려 모남을 그린 것 : 땅

 (3) 천원지방(天元地方)의 천문사상을 표현
 (4) 가운데 있는 별 : 추성

 (5) 옆으로 벌려 있는 별 : 28수

 (6) 말발의 진행이 해와 절기의 관계를 의미 : 해의 진행

  ① 동지의 해가 짧음 : 북쪽 → 동쪽 → 가운데 → 다시 북쪽

  ② 해가 고름 : 북쪽 → 동쪽 → 서쪽 → 다시 북쪽

  ③ 추분의 해가 고름 : 북쪽 → 동쪽과 남쪽 → 북쪽

  ④ 하지의 해가 길음 : 북쪽 → 동쪽 → 남쪽과 서쪽 → 다시 북쪽

   → 하늘의 별과 해, 이에 따라 땅의 계절 변화를 적용

 

5. 별자리를 배치한 윷판과는 다른 윷판 : 종정도(從政圖) 또는 승경도(陞卿圖)

 (1) 큼직한 종이에 종9품부터 영의정까지 내직이든 외직이든 모든 관직의 이름을 써놓았다

 (2) 참봉 만호 같은 하위직에서 판서 대제학 병사 수사 등 고위직을 망라하여 문관 무관을 구별치 않고 적은 것 
 (3) 중국 쌍륙놀이를 조선 초기 하륜이 우리의 관직에 맞게 변형

 (4) 벼슬을 중시하는 관료사회의 산물

 (5) 윷판의 천문사상을 인문정신으로 바꾼 한 모델

 

6. 윷점 
 (1) 윷놀이는 농경사회에서 농사나 신수를 점치는 예언적 의미로 변용

 (2) 농사와 관련지어 점치는 방법

  ① 화전농(火田農, 산농<山農>), 수전농(水田農, 수향<水鄕>) : 패를 갈라 윷놀이

  ② 산농이 이길 경우 : 그 해에 홍수가 져서 수향의 수확이 적을 것 예측

   - 술과 음식

   - 친목 도모
 (3) 윷가락을 던져 주역의 괘를 뽑아 신상에 관련된 일을 점치는 방법

  ① 셋의 수를 기본

  ② 도는 1, 개는 2, 걸은 3, 윷과 모는 4

  ③ 도가 세번 나오면 111, 도 개 걸이 나오면 123, 걸이 세번 나오면 333, 모가 세번 나오면 444 
 (4) 64괘가 주역의 기본이며 윷점에서도 64괘에 따라 64가지 사항을 설정하고 간단한 점사를 적어 놓았다.
 (5) 토정비결과 비슷한 점사

 

  ※ 인간의 길흉을 1년 단위로 예언해 사람들의 삶에 재미를 준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

 

자세히 보려면 여기 클릭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상에서 같이 먹는 것도 아픈 역사의 잔재  (0) 2023.06.04
뒷간  (0) 2023.06.04
현판 문화  (0) 2023.06.04
창호지  (0) 2023.06.04
마루  (0)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