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판?

 (1) ‘이마에 건다’는 뜻을 따서 편액(扁額)이라고도

 (2) 건물의 이름을 쓴 글씨를 액자(額字) : 큰 글자로 쓰기 때문에 큰 글자라는 뜻으로 전이되어 사용되기도 
 (3) 전통적인 공공 건축물에는 어김없이 걸렸기에 하나의 문화를 형성

  ① 한자문화권에서 이루어진 특징

  ② 기원 : 고대 중국의 진나라에서 현판을 걸기 시작

  ③ 초기에는 주로 국가의 공공건물에 → 후기에는 민간 건축물에도 

2. 사찰, 서원, 정자, 재실, 학당

 (1) 사찰 건물의 현판을 보면 그 건물의 용도를 환하게 알 수 있다

 (2) 모든 서원에 현판 : 용도에 따른 액자를 쓴 현판을 걸었다 
 (3) 액자

  ① 명필이나 유명 인사의 글씨

  ② 임금의 어서(御書)
 (4) 정자

  ① 정자 이름 현판

  ② 정자 안 : 정자를 세운 유래와 경치를 적은 기, 시와 부 등

  ③ 현판 액자

   - 예전 명필이나 선현의 글씨를 집자(集字)하는 수도

   - 운치를 한껏 살리려는 정서에서 나온 것

3. 오행설에 따른 궁성 문 현판

 (1) 동쪽 문 : 봄을 상징해 건춘문(建春門)

 (2) 서쪽 문 : 가을을 상징해 영추문(迎秋門)

 (3) 남쪽 문 : 여름을 상징해 광화문(光化門, 光은 불과 통함)

 (4) 북쪽 문 : 만들지 않았다 

4. 대궐, 전각

 (1) 큰 복을 누리라는 뜻을 따 경복궁(景福宮)

 (2) 큰 침전은 늘 평안하라는 뜻을 따 강녕전(康寧殿)

 (3) 정사를 보는 건물은 정사를 부지런히 하라는 뜻을 따 근정전(勤政殿)

 (4). 그밖에 여러 작은 건물에도 어김없이 그 역할에 맞는 이름 부여 

5. 8개의 도성 출입문 : 사방의 대문은 오상(五常)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에서 따와 이름을 붙였던 것

 (1) 북쪽 문 : 숙정문(肅靖門, 뒤에 肅淸門)

  ① '엄숙히 다스린다'는 뜻을 따서 간접적으로 지(智)를 나타냈다

  ② 북쪽은 임금자리 

 (2) 동북쪽 문 : 홍화문(弘化門, 동소문)

 (3) 동쪽 문 : 흥인문(興仁門, 동대문)

  ① 지(之)를 더 붙여 흥인지문

  ② 도성 동쪽 : 지대가 낮아 이를 보충하려고 한 글자를 더 붙였다거나 동쪽에 큰 산이 없어 지세가 기운다고 하여 ‘지’자로 보충 

 (4) 동남쪽 문 : 광희문(光熙門, 수구문)

 (5) 남쪽 문 : 숭례문(崇禮門, 남대문) - 화기를 누르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로로 쓰는 관행을 어기고 세로로 써서 현판을 

 (6) 서북쪽 중간의 작은 문 : 소덕문(昭德門, 서소문)

 (7) 서쪽 문 : 돈의문(敦義門, 서대문)

 (8) 서북쪽 문 : 창의문(彰義門)

 

  ※ 도성에는 중앙의 대문을 만들지 않아 신(信)을 붙일 수 없었는데 나중에 중앙지대에 보신각(普信閣)을 지어 보완

  → 모든 전각과 문의 이름은 유교이념을 표현하거나 풍수지리설과 결부시켜 이름을 붙였던 것

 

자세히 보려면 여기 클릭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뒷간  (0) 2023.06.04
윷놀이의 유래와 의미  (0) 2023.06.04
창호지  (0) 2023.06.04
마루  (0) 2023.06.04
온돌  (0) 2023.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