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세기.
⑴ 산업화에 따르는 사회적 갈등이 격화되는 시기.
⑵ revolution은 사회적 내용을 담아야 한다 : “revolution 원인의 하나가 사회적 긴장(社會的 緊張)과 계급투쟁(階級鬪爭)이 아니냐?”
⑶ T. 몸젠(Mommsen), 『로마사』제 3권 『혁명』.
① 이 시기의 revolution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예(例).
② revolution을 정치적인 용어에서 사회적인 용어로 전환: “그락쿠스가 혁명을 기도한 이유는 자본과 노동간의 심각한 충돌, 빈곤한 무산대중(無産大衆)을 창출하는 농업경제와 화폐경제간의 대립에 있다.”
⑷ Karl 마르크스(Marx) : 자본주의 혁명(資本主義 革命, 부르주아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社會主義 革命. 프롤레타리아 혁명)
① 몸젠(Mommsen)이 『로마사』를 쓰고 있을 때와 K. Marx가 혁명이론을 연구하고 있을 때는 거의 같은 시기.
② 혁명이란? 이전의 생산관계유지자(生産關係維持者), 즉 지배계급(支配階級)과 이에 대립하는 피지배계급(被支配階級)과의 계급 투쟁.
Ⓐ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계급사회의 발전에 필연적으로, ‘자연사적(自然史的)으로’ 일어나는 현상.
Ⓑ 새로운 사회체제의 요소 및 전제조건이 성숙하여 질적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시기에 도달할 때 일어나는 것.
Ⓒ 혁명의 기초: 생산력 발전에 대해 이전의 생산관계가 적응할 수 없게되어 그들 양자(兩者) 사이에 생겨나는 모순 - 그 해결책으로 혁명이 출현.
Ⓓ 계급투쟁에 의해 실현되며 그 투쟁의 최고형태.
Ⓔ 혁명은 ‘역사의 기관차’: 이 시기에 사회발전은 현저한 속도로 진전.
Ⓕ 정치혁명(政治革命)과 사회혁명(社會革命)의 관계를 규정.
③ 정치혁명.
Ⓐ 진보적 계급(進步的 階級)이 권력을 장악하는 것.
Ⓑ 좁은 의미의 사회혁명.
Ⓒ 사회를 새로이 재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진보세력(進步勢力)에게 권력이 이전(移轉)되는 것과 관련된 문제만을 해결.
Ⓓ 모든 생활 측면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이자 전제조건.
④ 사회혁명: 역사가 한층 더 높은 단계를 획득하게 해준다.
Ⓐ 새로운 계급으로 권력이 이전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 최우선적으로 주어진 혁명의 건설과업을 수행.
Ⓒ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革命的 改革이 발생.
Ⓓ 대중적 세력(大衆的 勢力)에 의해 새로운 사회체제가 만들어진다.
⑤ 사회주의 혁명(社會主義 革命) : 프롤레타리아 혁명.
Ⓐ 혁명주체(革命主體) : 프롤레타리아.
Ⓑ 역사상 그때까지의 어떠한 혁명과도 근본적으로 다르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 사회의 성격상 혁명계급(革命階級)으로 출현하는 프롤레타리아의 주도(主導)에의해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搾取)’를 모두 근절(根絶)하고 억압을 소멸시켜 나아가 사회발전을 촉진.
Ⓓ F. 엥겔스(Engels)의 표현대로 ‘필연의 나라에서 자유의 나라’로의 이전을 실현.
⑥ revolution에 천년왕국적 요소(千年王國的 要素)를 도입: 세계사의 과정을 그 마지막 단계로 진전케하는
데는 혁명이 꼭 필요하게 되었다.
⑦ revolution은 꼭 필요한 것, 바람직한 것, 그리고 적극적인 의미의 것.
(결) 근대적인 revolution개념이 프랑스혁명에서 성립되었다고 한다면 마르크스주의(Marxism)은 revolution을 역사적인 개념으로 만들었다고 말할 수 있다.
'서양 역사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10월혁명과 Revolution개념에 대한 그 영향 (0) | 2019.12.19 |
---|---|
Revolution개념에 대한 마르크스주의(Marxism)과 그 외 사상(Non-Marxism)의 상호 영향 (0) | 2019.12.19 |
미국 독립과 프랑스 혁명이후 revolution 개념 (0) | 2019.12.19 |
revolution의 근대적인 개념 성립 (0) | 2019.12.19 |
revolution(혁명) 본래 의미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