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류 기준
⑴ 재료 : 목탑, 석탑, 전탑 등
⑵ 석탑(돌의 형식과 재질) : 모전석탑, 청석탑
⑶ 모양 : 전형석탑, 복발형탑, 오륜탑, 4사자석탑 등
2. 목탑 : 모두 소실
⑴ 4세기말 ∼ 6세기말 : 중국영향으로 고구려, 신라, 백제에선 다층의 누각 형식 목탑 축조
⑵ 우리나라 탑의 시작으로 추측
⑶ 목탑 흔적 발견
① 신라 : 경주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망덕사지, 보문사지 등
② 백제 : 부여 군수리사지, 금강사지, 익산 제석사지 등
③ 고구려 : 평양 청암리사지, 평남 대동군 상오리사지 등
⑷ 목탑 형식 : 방형, 다각형
① 방형 목탑 기단부 : 군수리사지, 제석사지
② 9층 목탑지 : 경주 황룡사지
⑸ 목탑 양식 문화유산
①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② 전남 화순군 쌍봉사 대웅전
3. 석탑
⑴ 7세기 무렵부터 건립 시작
⑵ 재료 : 화강암(일반적), 안산암, 점판암
⑶ '석탑의 나라'
4. 전탑 : 벽돌을 쌓아만든 탑
⑴ 벽돌
① 모양 : 방형(사각형)
② 크기 : 27∼28cm
③ 두께 : 5∼6cm
⑵ 삼국시대부터 건립
⑶ 특성
① 석탑과 차이점
ⓐ 석탑 : 목탑 영향으로 기둥 표현
ⓑ 전탑 : 기둥 표현이 없다.
② 목탑과 차이점
ⓐ 목탑 : 지붕 추녀 끝이 살짝 위로 올라감
ⓑ 전탑 : 옥개석 추녀가 짧고 끝 부분이 밋밋한 수평을 이룸
③ 전탑만의 특징 : 옥신석에 감실이나 문비 설치
⑷ 법흥사지 7층전탑(남북국시대 신라), 안동 조탑동 5층전탑(남북국시대 신라),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고려)
5. 모전석탑 : 특수한 탑으로 우리나라 석탑의 새로운 양식으로 정착
⑴ 모전?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은 것
⑵ 재료가 석재이므로 석탑에 속하지만 탑 형태는 전탑 양식
⑶ 형태상 분류 (2가지)
① 돌을 벽돌모양으로 잘라서 전탑모양으로 쌓은 것
ⓐ 고려때 유행
ⓑ 봉감 모전5층석탑, 제천장락리 7층모전석탑, 정암사 수마노탑 등
② 전형적인 석탑의 기본 형식을 따라 축조한 것
ⓐ 남북국 시대 신라때 유행
ⓑ 탑신석과 옥개석을 쌓으면서 탑신석에 우주를 생략하고 옥개석에 층단을 표시하는 등 표면을 전탑처럼 가공해 축조한 것
ⓒ 선산죽장동 7층석탑, 선산낙산동 3층석탑, 월남사지 모전석탑 등
6. 청석탑
⑴ 점판암이라 불리는 푸른 빛을 가진 특이한 석재로 만든 탑
⑵ 기본 형식 : 석탑
⑶ 차이점
① 기단부 : 화강암
② 탑신부, 상륜부 : 점판암
③ 재료 자체가 얇고 작은데다 약해서 옥개석이 1장
'우리 문화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석탑의 전형 양식 (0) | 2018.06.02 |
---|---|
석탑 발생 (0) | 2018.06.02 |
탑 세부 명칭 (0) | 2018.05.30 |
탑? (0) | 2018.05.30 |
절의 여러 사물 (불구, 佛具) (0) | 2018.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