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1904년, 고등 통역관 대우로 러일전쟁 참여
② 1905년 7월, ‘대구구락부’ 형성 : 일본식 이름 야마모토(山本信) 사용
③ 1906년 5월, 경북관찰사 서리 겸 대구군수로 부임 : 정부 허락없이 대구읍성 철거
④ 1907년 평남관찰사 → 1908년 6월 경북관찰사 → 1910년, 충청남도 도장관 → 1915년, 충추원 참의 → 1921년, 황해도 지사 → 1923년, 충청북도 지사 → 1937년, ‘시국대책조사위원회’ 위원 → 1941년, 중추원고문 → 1943년, 중추원 부의장 → 1945년, 귀족원 칙임의원(貴族院 勅任議員)
⑤ 1909년 1월 7일, 11일, 황제접대위원회 구성 : ‘일장기를 지참하지 않는 학교는 폐쇄하겠다’
⑥ 1919년 3.1운동 : ‘경거망동으로 국민의 품위를 손상하게 하는 이가 없도록 상호 자제할 것’을 주장하며 자제단(自制團) 조직, 단장
⑦ 반민특위(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에 의해 수감
ⓐ 수감 8~9일만에 폐렴을 이유로 서울대학병원에서 치료
ⓑ 1949년 반민특위 해산 : 처벌 무산
⑧ 『술회』: 반민특위에 체포, 구금된 상태에서 일기 형식으로 그가 직접 작성
ⓐ “이완용은 매국노가 아니라 국난을 당하여 나라를 부지하고 백성을 구한 선처를 한사람”
ⓑ “이토 히로부미는 세계적 위인” : 이토의 양자(養子)
ⓒ 일본인도 그를 ‘야마모토 군수’ : 일제 정책을 찬양하였고 조선과 조선인의 단점을 터무니 없는 논리로 서술
⑨ ‘박작대기’ : 말년을 침산동에서 거주했는데 경찰, 관리들이 자신의 비위에 거슬리면 때리기 일쑤
⑩ 침산동주변 많은 노인들이 그를 ‘영웅호걸’로 기억하고 있고 일소대(一笑臺)에 날마다 치성을 드릴 정도로 그에 대한 인식은 많이 왜곡되어있다.
일소대? 1943년, 자신의 기개를 알리기 위해 친지의 도움으로 세운 기념비
'대구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운동가 : 대한광복회 총사령 박상진(朴尙鎭, 1884~1921) (0) | 2017.02.14 |
---|---|
친일파 : 서상돈의 차남 서병조(徐丙朝, 1886~1952) (0) | 2017.02.14 |
사회운동에서 노동운동까지 민중과 함께 한 김광제(金光濟, 1866~1920) (0) | 2017.02.14 |
국채보상운동의 주창자 서상돈(徐相燉, 1851~1913) (0) | 2017.02.14 |
임진왜란 : 조선에 귀화한 왜군 선봉장 사야가(沙也可) 김충선(金忠善, 1571~1642)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