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천동(佳川洞) : 1914년, 마을 북쪽에 금호강의 맑은 물이 흐르고 금호강변 경치가 아름다워 ‘아름다울 가(佳), 내 천(川)
· 고모동(顧母洞) : 이 곳의 지형 지세가 형제봉을 돌아보는 형세라고 하여 고모리(顧母里), 고모촌(顧母村) → 1914년 (왕건이 패하여 피난할 때 고향에 계신 어머니가 생각났다)
· 고산동(孤山洞) : 유래가 된 곳은 매호동, 성동이 인접하는 지역으로 옛 성터가 있는 구릉지가 있었고 경산현령 윤희렴과 고을 유생들이 서재를 짓고 퇴계 선생께 이름을 지어주기를 부탁하여 받은 이름이 고산(孤山)
· 내환동(內患洞) : ‘곶’ 안쪽에 해당되어 안곶, 안고지, 내곶(內串), 내곶계(內串界) → 1914년, 내곶을 내환(內患)으로 오해 → 2002년 1월 1일 대흥동(大興洞)
· 노변동(蘆邊洞) : 고려시대에 의성 김씨가 처음 정착하여 마을 형성, 마을 주위에 갈대가 무성하여 ‘갈변동’이라 했는데 갈변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노변동
· 두산동(斗山洞) : 아침 일찍 어떤 부녀자가 빨래하다가 산이 움직이는 것을 보았는데 그 순간 움직이던 산이 그 곳에 멈추어 섰다고 하여 그 산을 ‘말뫼, 불뫼, 독메산’이라 했는데 말뫼를 한자식으로 고치면 두산(斗山) → 1914년
· 만촌동(晩村洞) : 산세가 나지막하게 느지러졌으므로 느지미, 느짐, 느지 한자로는 만촌(晩村) → 1914년
· 매호동(梅湖洞) : 1914년, 외매동(外梅洞) +호동(湖洞)
· 범물동(凡勿洞) : 뒷산에서 범이 많이 울어 범울이 또는 범물리(凡勿里) → 1914년
· 범어동(泛魚洞) : 산의 형세가 마치 물고기가 입을 법리고 산 아래 흐르는 냇물에 떠있는 것 같아 마을 이름을 ‘뜰 범(泛)’과 ‘고기 어(魚)’를 합해 ‘범어’(泛魚) → 1914년
· 사월동(沙月洞) : ‘사들’, ‘사돌’로 불렀는데 이두식으로 표기하면서 ‘사’는 ‘모래 사(沙)’, ‘들 또는 돌’은 ‘달 월(月)’로 표현 → 1914년
· 삼덕동(三德洞) : 대덕산 아래 세 마을(못안, 대덕, 이리각단)이라는 뜻에서 유래(부정확)
· 상동(上洞) : ‘수성들’ 윗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웃골, 위동, 상촌(上村), 상동(上洞)
· 성동(城洞) : 임진왜란때 쌓은 듯한 성터가 남아 있는데 여기에서 유래
· 수성동(壽城洞) : 수성들 아래쪽에 있어 하동(下洞) +하동 동쪽에 새로운 마을이 들어서면서 신동(新洞), 신하동(新下洞) → 1914년, 하동 → 1938년, 수성동
· 시지동(時至洞) : 옛날부터 이 지역은 서울-대구-경산-청도-부산을 잇는 큰 길이 통과하는 중요한 교통요지여서 이 곳에는 국가에서 세운 숙박시설인 원(院)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그 이름이 시지원(時至院)이었고 동명은 여기에서 유래
· 신매동(新梅洞) : 동네 서쪽으로 흐르던 욱수천(旭水川)이 동쪽으로 흐르게 되자 이전의 욱수천이 흐르던 서쪽에 새로 동네가 생겼고 이 마을을 새터, 신기(新基)라 불렀고 옛날부터 있던 마을은 내매(內梅) → 1914년, 신기 + 내매 = 신기동
· 연호동(蓮湖洞) : 낮은 늪지대였는데 홍수로 금호강이 범람하면 호수가 생겼는데 이 호수에는 갈대와 연꽃이 무성하여 연지(蓮池) → 1914년, ‘연지’에서 유래
· 욱수동(旭水洞) : 신매동에서 보면 높은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웃마, 상동이라 했고 마을 동쪽으로는 개천이 흘렀는데 맥반석이 많아 흐르는 물이 맑아서 ‘욱수천’ → 1914년, 욱수천에서 이름을 땀
· 이천동(梨川洞) : 마을 앞을 흐르는 실개천을 중심으로 옛날부터 배나무가 많이 재배되었는데 ‘배나무 리(梨)’ + ‘시내 천(川)’
· 중동(中洞) : 수성들 한가운데 위치
· 지산동(池山洞) : 뒷산 모양이 곡식을 고르는 농기구인 ‘키’처럼 생겼다하여 이 산과 산아랫마을을 ‘치산’ → 1914년, 비슬한 한자음으로 지산동
· 파동(巴洞) : 수성못 입구에서 이 마을을 통과하여 가창에 이르는 길이 곧다고 해서 ‘파잠’ → 1914년
· 황금동(黃金洞) : 마을 주변 들판에는 곡식이 황금빛이고 산림이 울창하여 황청리(黃靑里) → 1914년, 황청동(黃靑里) → 1980년, 황청을 황천(黃泉, 저승)으로 잘못 이해하여 어감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황금동
※ 진밭, 진밭골 : 진밭 명칭은 2개가 있는데 남구 대명5동 영남대학교 병원 네거리 남쪽 지명이 진밭(長田) 그리고 수성구 범물동에서 동남쪽으로 대덕산, 용지봉 사이의 좁은 계곡을 따라 가면 있는 산골 마을이 진밭골이다. 밭이란 농경지외에 마을, 산, 산자락 모두 의미하는데 진밭이란 ‘길고 완만하고 산자락에 자리잡은 마을’
'대구 지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성군 가창면 읍 면 리 유래 (0) | 2017.02.18 |
---|---|
달서구 동이름 유래 (0) | 2017.02.18 |
북구 동이름 유래 (0) | 2017.02.18 |
남구 동이름 유래 (0) | 2017.02.18 |
서구 동이름 유래 (0) | 2017.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