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평민의병장의 등장과 민중들의 참여
 ① 을사늑약이 강제로 맺어지면서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
 ② 의병부대에는 다양한 계층이 참여, 의병장에는 양반유생 대신 평민출신이 다수
  ㄱ. 민종식(전 참판) - 1000여 명의 의병을 조직하여 봉기하고 홍주성 점령
  ㄴ. 최익현(전직 고관) - 태인에서 자신의 문하생과 동조세력 등 1000여 명의 의병투쟁
  ㄷ. 신돌석(평민출신) - 강원도, 경북의 접경지대와 동해안 일대 활동

 

2) 전국으로 번지는 의병전쟁
 ① 1907년 8월 군대해산을 계기로 새로운 전기를 맞음
 ② 해산군인이 의병에 참여함으로써 의병전쟁을 전국, 전계층으로 확산
 ③ 이인영, 허위가 이끄는 연합의병은 서울진공작전을 실행했으나 일본군의 반격에 실패

 

3) 호남 의병과 ‘남한 대토벌’
 ① 대중기반이 튼튼하고 개항 뒤 일제의 경제적 침탈이 심한 호남지역이 가장 치열
 ② 남한 대토벌작전(1909) 단행으로 호남의병이 사실상 무너지고 의병항쟁 퇴조
 ③ 최후의 의병장 채응언이 체포됨으로써 항일의병전쟁은 막을 내리고 독립군 항쟁으로 성격이 전환
* 민족의 국권 회복 운동 - 의병운동, 애국계몽운동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