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천리(冷泉里) : 마을 뒷산 골짜기에 찬물이 나오는 샘이 많아 ‘찬새미’, ‘한천’(寒泉)이었는데 언제부터인지 냉천(冷泉)으로

· 단산리(丹山里) : 다을 토질이 붉은 빛을 띠고 있기 때문에 혹은 마을이 봉단산(鳳丹山) 북쪽 음지(陰地)에 북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음’(丹陰) → 1914년, 봉단산 아래에 있다하여 단산(丹山)

· 대일리(大逸里) : 마을이 큰 골을 이루고 있다하여 ‘대일박’ → 대일 → 1914년, 대일동

· 삼산리(三山里) : 동, 서, 남쪽으로 산봉우리 3 개가 둘러싸고 있는 마을이라 삼산리

· 상원리(上院里) : 마을 앞을 지나는 길이 대구에서 동래(부산)로 가는 통로였고 마을 맨 윗골에 공무로 길을 가던 관리들이 숙박하는 원(院)이 있어 이 마을을 상원동

· 오리(梧里) : 옛날부터 오동나무가 많아 숲을 이루고 있었고 개천 북쪽 양지바른 곳에

남향으로 자리잡은 마을을 양오동(陽梧洞), 남쪽 응달에 북향으로 자리한 마을을 음오동(陰梧洞) → 1914년, 오동

· 옥분리(玉盆里) : 옥(玉)같이 고운 돌이 나고 마을 주위의 산들이 물동이와 비슷한 형상으로 마을을 둘러싸고 있어 옥분동

· 용계리(龍溪里) : 마을 앞을 흐르는 계천(溪川)을 용계천(龍溪川)이라고 하는데 오랜 옛날 이 계천에서 용이 승천했다는 절설이 이 마을에 전해내려 온다. 용계리라는 마을 이름도 이 전설에서 유래

· 우록리(友鹿里) : 임진왜란때 왜에서 귀화한 모하당 김충선이 1602년 정착하여 살았다.

그는 이 마을이 주희(朱熹, 1130~1200)가 학문을 강의한 곳과 같이 아름다운 골짜기라하고 주희를 본따 남쪽 마을은 자양, 북쪽 마을은 백록, 서쪽 마을은 황학이라 부르고 가장 큰 마을은 ‘신선들이 사슴을 벗삼아 노는 곳’이라는 뜻에서 우록

· 정대리(亭垈里) : 마을을 둘러싼 3면의 산봉우리가 솥발 모양을 하고 있어서 정대(鼎垈)라 불렀다고 하고 혹자는 마을이 형성될 때 이 마을이 산간 오지라 농토가 적어 양식 걱정이 늘 끊이지 않았는데 지나가던 도사가 마을 이름을 정대(鼎垈)라 부르면 양식 걱정이 없어질 것이라 하여 ‘정대’ → 1914년, 마을 앞에 있는 느티나무 정자 숲을 의미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정대동(亭垈洞)

· 주리(蛛里) : 마을이 위치하고 있는 산골짜기가 거미 형상을 하고 있어 ‘거미골’ → 1914년

· 행정리(杏亭里) : 정착 당시 마을 앞에 큰 은행나무가 있어 행(杏亭)

'대구 지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성군 논공읍 읍 면 리 유래  (0) 2017.02.18
달성군 구지면 읍 면 리 유래  (0) 2017.02.18
달서구 동이름 유래  (0) 2017.02.18
수성구 동이름 유래  (0) 2017.02.18
북구 동이름 유래  (0) 2017.02.18

+ Recent posts